<> 오늘의 한국사학계는 두가지 편향된 역사관에 매몰돼 있어 보다 개
방적인 시각의 새로운 역사인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사학자 최완기교수(이화여대 사회생활과)는 최근 발간한 연구서 "
조선시대사의 이해"(느티나무간)에서 지배층중심의 보수사학과 민중중
시의 진보사학 모두를 편향된 역사관이라고 비판했다.

<> 최교수는 보수학계가 분단상황으로 인한 현실과의 타협책으로 냉전
이데올로기와 종속적 자본주의화에 영합하면서 제도권에 안주, 기득권을
유지 강화했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고증만을 능사로 아는 실증주의사학에 머물고 과학적 연구관
점과 방법론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를 낳았다고 그는 보았다. 한국사시
대구분의 기준이나 근거등 기본적인 평가기준도 제시하지 못해 가치부재
의 역사학,정권홍보의 사학이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보수사학계는 지배층중심의 시각에 평향된데다 국정
교과서 외에 다양한 개설서를 제공하지 못하는등 더욱더 경직되고 있어
문제라고 최교수는 강조했다.

<> 최교수는 이같은 보수사학계의 시각과 달리 변혁의 주체로서 민중에
주목한 진보사학의 대두를 필연적인 결과로 보았다.

기득권을 유지 강화하는 속성이 있는 가진자,지배자 중심의 사학으로
는 역사의 끊임없는 발전성을 설명할수 없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그
러나 민중의 삶과 민족의 결속을 자극하는 민중사학도 그 당위성에도 불
구하고 비과학적인 편향된 역사관에 매몰됐다고 최교수는 보고있다.

기존의 역사이론에 대한 총체적 대안으로 제시된 마르크스 이론 틀자
체가 극단에 이르면 도식적이고 관념적인 역사관에 빠질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또 민족사의 전체 흐름을 지배와 저항이라는 대항구조속에서 저항위주
로 파악하는 것은 다양한 민중의 삶과 역동성을 매몰시킬 위험을 안고있
는 편향된 사관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