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의 소비자물가상승률 1. 3%는 월간으로 따져 비교적 높은 축에
들지만 선거인플레를 크게 우려했던 당초 예상과 견주어서는 괜찮은 수준
이다. 개인서비스 요금이 많이 오르긴 했으나 그보다는 공공요금 즉 각급
학교 납입금과 버스요금 전기료인상이월분등이 상승을 주도했다는 발표는
역시 지난번 총선의 인플레효과가 생각보다 미미했다는 평가를 내리게
만든다.
한편 1.4분기 3개월동안의 상승치는 지난해(4. 9%)의 약 절반수준인
2.6%에 머물러 역시 다행스럽게 여겨진다. 총선직후 정부가 안정우선의
경제운용을 새삼 강조하면서 올해 소비자물가억제목표를 9%대가 아닌 8%
혹은 7%선으로 하향조정할 가능성을 비친것은 이같은 최근의 물가동향
수치에서 자신감을 얻은 때문인듯하다.
장차에도 물가가 계속 지난 3개월과 같은 상대적 안정추세를 보일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는다. 택시요금이 벌써부터 들먹이고 있는데다
이밖에 철도 지하철요금과 연안여객선운임,의료수가와 우편요금
상수도요금등 각종 공공요금들이 줄줄이 인상차례를 기다리고 있으며
여기에 또 임금교섭과 12월의 대통령선거등 복병이 부지기수로 있다.
따라서 물가문제에는 정부가 계속해서 비상한 관심을 갖고 안정화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 이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다만 여기서 한가지 더 지적해야할 것은 우려했던 올 1분기의 이른바
"총선물가"가 지수면에서 일단 이례적인 안정 소강을 보인 배경에는 정부가
미리부터 관심을 갖고 고삐를 죈것외에 또다른 요인이 있지않았나 하는
점이다. 그것은 다름아니라 기업의 심한 자금난과 불경기로 인한 가격의
상대적 하락 내지 안정경향이다. 물론 아직 단정적으로 말할 단계는
아니지만 불경기와 겹친 디플레현상의 징후가 없지않은 현실에 당국은
주목해야한다. 그게 만약 사실이라면 물가와 경기를 동시에 세심하게
관찰하고 챙기는 정책운용이 요망될 것이다.
중소기업에서 특히 심각하다는 자금난과 재고누증으로 투매사례가 번지고
있다. 또 지표상의 소비증가율은 여전히 높아 과소비가 여전하다지만
상인들은 판매부진을 호소하고 있다.
요컨대 물가를 잡되 실물사이드의 제조업과 수출산업 생산활동도 활기있게
돌아가야 한다. 과소비 과열경기속의 인플레와 경기침체하의 인플레 즉
스태그플레이션 그 어느것도 소망스럽지 않지만 불경기하의 디플레도
곤란하다. 물가를 여러측면에서 관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