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75석 개헌저지선엔 미달 ***
*** 국민24, 무소속21석확보 부상 ***
민자당이 14대 총선에서 야당과 무소속에 밀려 과반수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전국적으로 99%가 개표된 25일오전 10시 현재 민자당은 전국
2백37개지역중 과반선에 미달하는 1백15-1백16개지역에서 당선됐거나
당선이 확실한것으로 나타났다.
민자당은 전국구 62석중 33석을 차지, 총 2백99석의 과반수(1백50석)에서
1-2석이 모자라는 1백48-1백49석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무소속당선자중
일부를 영입하지 않는다면 여소야대정국의 재현이 불가피하게 됐다.
민주당은 호남과 서울 경기지역등 모두 75곳에서 당선이 확정되거나
유력하며, 국민당은 24-25개지역에서 당선이 유력, 원내교섭단체구성이
확실해졌다.
무소속은 제주 3개 전지역을 포함, 21곳에서 당선이 확정되는등 의외로
강세를 보였고, 신정당은 박찬종대표 혼자 서울 서초갑에서 유일하게
당선됐다.
전국구의석은 민자 33 <>민주 22 <>국민 7석이 배분돼 정당별
의석분포는 민자 1백48-1백49, 민주 97, 국민 31-32석이 될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민자 민주당의 양당구도가 흔들리면서 새로운 정계재편의
가능성마저 점쳐지고 있다. 특히 여권은 총선패배의 여파로 노태우대통령의
남은 임기동안 정국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됐으며 충격적 선거결과는
여야의 차기 대권구도및 전략에도 큰 파장을 미칠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총선의 최대승부처인 서울에서는 새벽까지 각후보간 선두가
뒤바뀌는 치열한 접전을 벌이면서 민자당후보들이 44개지역중 16곳에서
당선되거나 당선이 확정적인 반면 민주당은 25곳에서 당선자를 내
압승했다. 국민당은 서울에서 2석을 건졌고 신정당은 서초갑에서
박찬종대표 1명이 원내에 진출했다.
지난 13대총선당시 황색바람이 거세게 몰아쳤던 호남에서는 예상대로
민주당이 광주 전남을 석권했으나 전북에서는 민자당이 무주.진안.장수
(황인성)과 남원(양창식)에서 승리, 호남교두보확보에 성공했다.
민자당은 부산 16개지역중 사하를 제외한 15개지역을 석권했지만 6공의
보루격인 대구에서 국민당및 무소속후보들에게 고전, 11개지역중
3개지역에서 낙선했다.
또 국민당은 경기 강원 경북 충남 충북 경남 대구등지에서 골고루 2-
4석씩을 확보, 신당돌풍을 일으켰다.
민자당은 개표초반인 24일저녁 호남을 제외한 전국에서 압도적인
우세를 보였으나 자정을 넘기면서 <>수도권일원에서의 부진과 <>무소속및
국민당의 예상외 약진때문에 결국 단순과반수의석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무소속후보들은 부산 사하(서석재) 대전중(강창희) 서.유성(이재환)
강릉(최돈 웅) 삼척(김정남) 공주(이상재) 천안시(성무용) 포항 (허화평)
안동(김길홍) 점촌. 문경(이승무) 상주(김상구) 진주(하순봉)등지에서
선전, 대거 당선됐고, 특히 거창 현금살포사건으로 구속된 이강두
(무소속)씨가 유일하게 옥중 당선됐다.
각당의 득표율은 <>민자 38.5% <>민주 29.2% <>국민당 17.3%로
나타났다.
관심지역중 서울 강남갑은 국민당 김동길후보, 대구 서갑은 무소속
정호용전의원, 그리고 구리는 코미디언인 국민당 정주일후보가 당선됐다.
민자당후보로 출마한 김복동(대구 동갑) 박철언(수성갑) 금진호씨(영주.
영풍)등 대통령 친인척은 무난히 당선됐으나 남재희(강서을) 황병태
(강남갑) 오유방(은평갑) 박용만(성동병) 김중권(울진) 정동성(여주)
정종택(청주갑) 유한열(금산) 김현욱의 원(당진)등 현역중진들이 대거
낙선했다.
민주당에서는 김현규최고위원(서울 마포을) 이상수의원(중랑갑) 노무현
대변인(부산동)등이, 그리고 국민당에선 김광일의원(부산중)이 탈락됐다.
민자당은 호남에서 간신히 교두보를 확보했으나 민주당은 영남권에서
단한석도 얻지못해 고질적인 동서지역감정의 일면을 엿볼수 있게했다.
또 울산중은 11표, 서울 노원을은 35표차로 당락이 결정되는등 일부
선거구에서는 근소한 표차로 승부가 가려졌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부재자투표의 공정성여부를 놓고 선거소송사태가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민자당관계자들은 이번 총선의 패인에 대해 <>3계파간 지분다툼으로
공천자체에 문제가 있었고 <>특히 선거운동종반 안기부직원들의
흑색선전물배포사건, 군부재자 투표 부정시비등의 악재들이 잇따라
돌출하는 바람에 견제심리를 부추겼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