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그룹들은 서로 연관성이 없는 기업끼리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기업집단화에 따른 위험분산효과도 거두지 못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대기업그룹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전문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재무구조가 극히 취약한 기업에 대한 신규대출제한과 함께
기업매수합병(M&A)을 활성화시켜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산업연구원 양원식부연구위원은 13일오후 연구원회의실에서 열린
기업경영효율화 정책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기업들이 새로운
산업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부실기업의 퇴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대규모기업집단은 57.1%가 비관련형기업으로 결합돼있고
전업형은 8.2%에 불과,70년대초 일본(전업형 16.9%,비관련형 6.8%)이나
독일(각각 22%,18%)보다 더 취약한 구조를 띠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국내 기업그룹들은 기업집단화의 목적을 위험분산에 두고 있으나
실제 30대그룹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위험도를 분석한 결과,계열기업수가 4
6개일때의 위험도(3.93)가 7 11개일때(8.20)보다 낮아 위험분산도 되지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같은 비효율적인 집단화로 그룹내 주력기업의 성장과
재무구조개선을 저해,그룹전체가 부실해질 뿐 아니라 계열기업간의
상호보조로 경쟁의식도 저하된다고 주장했다.
이에따라 M&A전문회사설립을 검토하고 일정요건을 갖추고있는
증권회사등의 금융기관도 M&A업무를 취급토록해 기업의 매수합병을
활성화시켜야한다고 제시했다. 이와함께 계열기업간의 내부자거래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주식보유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야한다고 촉구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