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설및 사회서비스업등 3차산업의 취업자수가 계속 늘어 제조업
인력난을 가중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업취업자수 증가가 전체신규취업자수를 훨씬 능가,제조업인력
의 서비스업 이동현상까지 나타났던 것으로 분석됐다.
5일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91년 경제활동인구동향을 보면 91년 건설등
서비스업의 취업자비중은 56.4%로 전년의 54.4%에 비해 2%포인트나
높아진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수는 1천8백57만6천명으로 전년에 비해 54만명(3%)이
늘었으나 건설및 서비스업등 3차산업에서만 65만2천명이나 증가했다.
3차산업의 고용증가규모가 전체 신규취업자수를 웃돌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제조업활성화대책에도 불구하고 3차산업의 비대화현상이 90년에
이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산업별 취업자수는 농림어업에서 18만9천명이 줄고 제조업은 8만9천명이
늘었으나 건설및 서비스업분야에서 65만2천명이 증가했다.
이에따라 총취업자중 제조업취업자가차지하는 비중은 26.6%로 지난 88년의
27.7%를 고비로 3년연속 떨어지고 있다.
반면 건설및 서비스업 취업자비중은 90년의 54.4%에서 56.4%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제조업취업자수는 1.4분기에 전년동기대비 5.5%나 늘었으나
2.4분기이후 증가세가 둔화되다 4.4분기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같은 제조업이탈현상은 올해 선거운동인력 수요가 늘어나면서 더욱
가속돼 제조업인력난을 부채질할 것으로 우려된다.
지역별로는 섬유 신발등 경쟁력약화 업종이 집중된 부산 대구등지의
제조업취업자수가 두드러지게 감소하고 있다.
부산의 경우 신발산업등의 부진으로 2.4분기이후 제조업취업자수가
감소추세를 보였으며 대구는 섬유산업등에서 여성인력의 실업률이
0.6%포인트 높아지고 제조업취업자수도 3.4분기부터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도시건설등으로 건설업취업자가 크게 늘어난 서울 경기지역에선
실업률이 크게 낮아졌다.
신도시건설에 힘입어 서울 경기지역에서만 건설업취업자가 8만8천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산업별 취업구조의 변화는 물론 1차산업의 쇠퇴와 제조업등
2차산업의 정체에 반해 3차산업이 높은 성장을 보인데 기인한 것으로 볼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인력의 상당부분이 유흥업등 소비업종으로 흘러간데다
제조업인력까지 끌어가고있어 인력난을 가중시켰던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구나 올들어서도 1월중 제조업인력이 11만명이나 다른 업종으로
빠져나가 선거를 앞두고 인력난을 더욱 심화시킬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중소제조업체의 인력난에도 불구하고 30세이하 젊은 연령층의 제조업
기피현상으로 15 29세 연령층의 실업률이 높아져 인력수급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대졸이상 고학력자의 실업률이 고졸3.2%) 중졸이하(1.1%)실업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 학력간 인력수급불균형현상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다만 상대적으로 취업률이 높은 전문대졸업자가 증가한데 힘입어
대졸실업률은 전년(4.4%)보다 0.8%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이처럼 취업인력이 서비스업종으로 몰리는등 산업별 고용구조가
악화되고 인력수급의 불균형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서비스업의 과잉인력을
산업인력화하기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선거기간중 제조업인력이 선거운동원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위한 대책도 마련중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 제조업 인력난을 해소하고 고용구조를 개선하려면
근로자의 자발적인 제조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유인책을 종합적으로
강구하는 노력이 필요한 때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