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제조업체들의 임금 인상률이 서비스부문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 산업간 임금격차가 다소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경제기획원에 따르면 지난해 노.사간에 타결된 전산업의 평균
임금인상률은 10.5%로 두자리수를 기록한 가운데 제조업은 이보다 다소
높은 11.2% 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중 산업별 타결임금 인상률을 보면 광업이 11.7%로 가장 높고
다음이 <>제조업 11.2%,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10.4%, <>건설업 9.9%,
<>사회 및 개인서비스업 9.9%, <>운수.창고.통신업 9.5%, <>금융.보험.
부동산업 9%, <>전기.가스.수도 업 7.1% 등의 순이었다.
이에 따라 제조업의 임금인상률이 도소매 및 금융.보험 등 서비스부문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산업간 임금격차는 최근들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90년에도 타결임금 인상률은 제조업이 9.8%로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9.4%) 금융.보험.부동산업(6.6%), 건설업(8.5%) 등에 비해 다소 높았었다.
정부는 이와 관련, 산업인력난 완화를 도모하기 위해 올해에도 제조업
부문의 임금인상률이 서비스부문에 비해 다소 높아지도록 유도해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업체들의 임금인상을 총액기준 5% 이내로 강력히
규제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중소기업들의 임금인상률은
이같은 임금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배제하고 업체별로 생산성향상 범위
내에서 최대한 자율적으로 조정토록할 방침이다.
정부는 특히 서비스산업 등의 총액기준 임금인상을 관철토록 함으로써
각종 수당신설 등을 통해 실제 급여수준이 타결임금인상률보다 훨씬
높았던 관행을 철저히 불식해나가기로 했다.
이같은 방침은 중소제조업체들에 비해 서비스부문의 임금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한창 일할 나이의 젊은 인력들이 제조업체에의 취업을
기피, 서비스부문으로 고용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