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을 앞두고 산업인력의 대거 이탈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올 한햇동안 11만명정도의 건설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돼 이의 대책
마련이 시급 한 것으로 지적됐다.
17일 국토개발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 윤영선책임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건설인력수요는 주거용 52만6천명, 비주거용 42만8천명, 토목
57만7천명, 건설보수 20만9천명등 모두 1백74만명으로 작년보다 2.4%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같은 추정은 올해 총건설투자규모가 건설경기 둔화추세 속에
작년보다 2.5% 늘어난 30조1천억원으로, 부분별로는 주거용이 12.1%
감소한 10조1천억원, 비주거용 이 5.6% 증가한 8조8천억원, 토목이 17.4%
증가한 11조2천억원이 될 것이라는데 따 른 것이다.
반면 올해 건설인력취업자는 지금까지의 산업별 취업추이와 지난해
월별 평균 증가율 15%내외를 고려할 때 작년보다 20여만명이 늘어난
1백72만6천명으로 부족인 력은 1만4천명선에 그칠 것으로 추산됐다.
그러나 건설경기 하강에 따라 근로조건이 열악한 건설업이 지속적인
노임상승을 통해 취업인력을 계속 증대시키는 것이 거의 한계에 달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 해 건설인력취업 증가율은 6.7% 내외로 작년보다
10만3천명 늘어난 1백62만9천명에 그칠 것으로 보여 부족인력은
11만1천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해 부족한 인력 17만4천명보다는 완화된 것이긴
하지만 건설 인력의 공급사정은 그동안 급상승했던 건설노임으로 인한
업계의 채산성 악화와, 어 렵고 힘든 건설현장 취업기피 확산등으로 점점
악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더욱이 올해 실시예정인 각종 선거는 과열양상을 띨 경우 생산현장의
기능및 단 순노동력을 선거운동원으로 대거 이탈케 함으로써 점점 가중되는
인력난과 노임상승 을 부채질할 우려도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윤책임연구원은 이와관련, "건설인력난의 해결은 단순히 부족노동력을
메우는 차원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취업기피현상을 타개하고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 는 보다 질적이고 구조적 측면에서의 장기적인 대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1백60여만명의 여성및 고령층 노동력과 연간 25만명에
달하는 비진학청소년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면서 그 방안으로 <>학력중심의
임금및 가치체 계전환 <>열악한 작업환경과 근로조건개선 <>고용의
안정성및 건설업의 사회적 이미 지 제고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