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도시근로자 가구의 57.3%가 전/월세집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노동연구원이 도시가계연보및 도시가계조사
(경제기획원 발표)를 토대로 "89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의 가계경제"를
분석한 결과에서 28일 밝혀졌다.
이 분석결과에 따르면 89년말 현재 4천2백30가구의 도시근로자가구중
자기집을 가진 가구는 40.4%에 불과하고 전세 36.9%, 월세 20.4%,
기타(무상및 관공사택) 2.8%등이었다.
<>근로자가구의 특성 = 가구주의 학력은 근로자가구의 25%와 근로자외
가구의 21%가 전문대 이상을 졸업했으며 중졸이하의 가구는 하위 40%
소득계층에 56%가 집중돼 있는 반면 전문대 이상의 가구는 상위 20%
소득계층에 41%가 몰려있다.
소득분포측면에서 정신적 기술적 관리적인 사무에 종사하는 봉급자
가구는 상위 40% 소득계층에 집중돼 있는 반면 육체적인 노동에 종사하는
노무자가구는 하위 40% 소득계층에 속해있다.
<>도시근로자가구의 수입구조 = 소득의 주원천은 주로 가구주의 소득에
의존하고 있는데 조사대상가구의 가계소득중 74%가 가구주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고소득 가구일수록 근로소득의 비중이 낮으며 가구주의 학력이 낮을수록
가구주이외의 기타가구원의 근로소득 비중이 높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지출구조 = 소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식료품비의
구성비는 63년 61.3%에서 89년 32.4%로 낮아졌다.
이중 식료품비의 내용은 63년에는 주식비(63%) 부식비(32%) 외식비
(2%)의 순이었으나 89년에는 부식비(54%) 주식비(21%) 외식비(20%)
순으로 뒤바뀌었다.
<>수입과 지출을 종합한 가계지수 = 아직도 하위 10% 근로자가구는
매월 약 5만원의 적자를 보고 있으며 소득향상에 따라 적자가구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자가가구의 소비성향이 높은데 반해 전세및 월세가구는 소비를
절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