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의 실업자와 직업을 갖고 있더라도 취업만족도.보수.생산성등에서
불완전한 상태에 있거나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한 사람등을 포함한 불완전
활용 노동규모가 정부가 발표하는 공식적인 실업률보다 훨씬 높아 노동의
효용을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0일 전경련산하 경제사회개발원이 단국대의 박동운교수와
이중희박사에 의뢰, 작성한 한국기업과 고용창출 이란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취업능력과 취업의사를 갖고 있으면서 구직활동을 하였음에도
취업하지 못한 실업자 <>구직의 어려움에 낙 담,구직활동을 포기했지만
취업의사는 갖고있는 실망노동자 <>취업하고는 있으나 취
업시간.만족도.안정성.생산성.보수 등에서 불완전한 상태로 있는
불완전취업자 등을 다 합한 이른바 불완전 활용노동자의 규모가 지난
86년의 경우 작게는 1백33만명에 서 많게는 3백90만명까지로 나타났다.
이는 15세이상 생산가능 인구의 4.6-13.7%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부가
88년에 밝 힌 실업률 2.5%보다 엄청나게 높은 것이다.
이 보고서는 고용문제의 심각성은 흔히 통상실업자수나 실업률을
가지고 논의하 지만 우리나라에는 상당규모의 불완전취업자나 실망노동자가
존재,고용문제의 심각 성을 더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정부는 고용증가와
함께 취업기회 개선 등 고용구조의 향상에 역점을 두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