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0년 한국전쟁 이후 40년만에 유엔 사상 두번째로 유엔군의
대이라크전 파견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29일의 유엔 안보리 회의를 앞두고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찬성표를 던지지 않겠다고 밝혀 중국의 반대,
또는 기권 가능성이 초미의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으나 유엔 주재
외교관들은 결의안 통과가 거의 확실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전기침 중국 외교부장은 28일 안보리 출석을 위해 뉴욕의 유엔본부로
떠나기 앞서 북경 공항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평화적 해결을
요구하는 것이 중국의 일관된 입장"이라면서 대이라크 무력사용에
찬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안보리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것인지, 또는 기권함으로써
결의 통과를 허용할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유엔 안보리 5개 상임 이사국중 하나인 중국이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어떠한 결의안도 채택될 수 없는데 중국은 그동안 무력사용에 대해
반대의사를 표명해왔다.
전은 중국이 무력사용 결의안을 지지할 것이라는 미국내 보도들이
"근거없는것"이라고 말했으나 거부권을 행사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고 모호하게 답변했다.
*** 15개국 회원국중 11개국 찬성의사, 통과확실시 ***
이에 대해 데이빗 해네이 유엔 주재 영국대사는 "중국이 거부권 행사를
생각하지 않고 있음이 거의 확실하다"고 말했으며 외교관들은 중국이 이
문제를 지난해 국내민주운동 진압이후 부과된 미국의 제재조치 해제를
위한 협상용으로 이용하기 원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89년 이후 미국을 방문하는 중국의 최고위 관리인 전은 자신이 이날중
제임스 베이커 미국무장관과 회담을 가질 것이라고 밝혀 결의안 표결을
앞둔 중국의 입장에 마지막 수정도 가능할 것이라는 추측을 낳고 있다.
중국은 지금까지 안보리를 통과한 10개 대이라크 결의안에 대해서는
모두 찬성표를 던졌다.
안보리는 결의안 채택을 위해 15개 회원국중 최소한 9개국의 찬성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현재 11개 회원국이 찬성하고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분명한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예멘과 쿠바는 반대표를 던지거나
기권할 것으로 예상돼 통과에 필요한 표는 확보한 셈이지만 이 결의안
통과움직임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은 국제사회의 단결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더 많은 지지를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앞서 율리 보론초프 소련대사는 미.중.소.영.불 5개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이 대이라크 최후통첩 기한을 구체적으로 논의한 뒤
결의안에 대한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고 말했다.
이 결의안은 오는 1월15일까지 이라크가 쿠웨이트로부터 철수하지 않을
경우 이라크에 대해"필요한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을 명시, 지난 1950년
한국전쟁에 유엔군을 파견키로 결의한 이후 처음으로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으며 유엔에 대해 쿠웨이트의 인구기록을 보존하도록
요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