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업체들은 채산성악화에 따른 수출가격 상승요인을 생산성 및
품질향상등을 통해 극복하지 못한채 이를 수출가격에 그대로 전가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이 약화돼 수출부진을 초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9년중 무역수지 및 교역조건 동향"에 따르면
국내 수출업체들은 외국에 상품을 수출하면서 87년 10.1%, 88년 13.6%, 89년
9.8%등 최근 3년간 매년 10% 내외씩 단가를 올려왔다.
이같은 수출단가 상승률은 같은 기간중 미달러화에 대한 원화가치의
상승률인 87년의 7.2%, 88년 12.6%, 89년의 8.8%보다 1-3%포인트가량 높은
것으로 수출업체들이 원화절상률보다도 수출가격을 더 많이 올렸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한은은 이같은 현상에 대해 국내 수출업자들이 임금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를 생산성 및 품질의 향상등으로 극복하지 못한채 수출가격인상으로
만회하려 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같은 수출단가 상승은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상품의 수출경쟁력
약화를 초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의 경우 지난 85년 2/4분기부터 88년 4/4분기까지 미달러화에 대해
엔화가 100.6% 절상됐으나 이 기간중 수출단가는 엔화절상률의 절반수준인
55.3% 상승하는데 그쳤다.
한은은 일본기업들이 엔화절상 기간중에도 수출단가 인상을 자제할 수
있었던 것은 품질향상등을 통한 원가절감으로 엔화절상에 따른 수지악화분을
자체적으로 흡수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물량은 전년보다 6.4%가 줄어 지난 80년이후
처음으로 감소현상을 보였다.
제품별로 보면 경공업제품과 중화학공업제품이 전년보다 각각 6.9% 및
6.2%가 감소했으며 지역별로는 대미수출이 11.1%, 대EC(유럽공동체) 수출이
16.3%가 각각 줄었는데 이는 수출경쟁력 약화와 교역상대국들의 각종 수입
규제조치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