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환율변동이 수출입등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약 12-14개월후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원화절상률이 10%에 달할 경우 경제성장을 연간 2.4%
줄이는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우리나라의 환율제도는 완전한 자율변동환율제로 이행되기 이전에
정부가 내년에 도입예정인 시장평균환율제를 포함한 관리변동환율제를 시행
하여 충격을 완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 관리변동환율제 시행 충격 완화 필요 ***
연세대학교 박진근교수와 숙명여자대학교 신세돈교수는 28일 한국은행의
의뢰에 따라 연구, 작성한 "환율변동의 영향분석과 환율운용방안"이란 보고서
를 통해 그같이 밝혔다.
박교수는 환율변동의 영향분석을 통해 원화절상률이 10%에 달할 경우 수출
상품가격을 연간 4.32% 상승시키는게 되는데 업종별로는 섬유및 가죽제품이
4.0%, 금속/기계가 2.7%, 그리고 제조업 전체로는 3.8%의 가격상승효과를
미친다고 분석했다.
그는 10%의 원화절상이 대체로 1개월후에 수입가격을 약 4.4% 하락시키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산업별로는 별 차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 환율변동효과 12 - 14개월후 나타나 ***
그는 또 산업연관표를 통해 조사한 결과 10%의 원화절상이 경제성장을
연간 2.4%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환율의 변화가 수출가격에 가장 두드러
지게 영향을 주는 기간은 환율변동후 약 12-14개월 후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편 신교수는 환율운용방안 연구를 통해 오는 90년대 초반에 우리나라가
자유변동환율제를 도입한다고 가정할 경우 사전에 제도변화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중심환율제를 비롯한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준비단계로 시행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교수는 또 국제수지변동에 따른 환율변동이 국내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을 감안, 근본적으로 국제수지변동에 따른 통화충격을 완화할수
있도록 국민경제의 통화흡수능력을 배양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