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직업능력개발훈련법인협의회, "D4-6 비자 제도 개선해야" 주장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가운데 직업훈련법인을 통한 숙련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직업능력개발훈련협의회(회장 이태희)는 1일 외국인 직업훈련법인 일반연수생 비자(D4-6) 제도를 통한 숙련인력 확보 방안에 대한 전문가 세미나를 열고 현행 숙련외국인력 도입 체계와 문제점을 논의했다.
이날 주제 발표에 나선 이태희 회장은 “기술 연수를 통해 숙련 외국인을 채용하기 위해 2017년 D4-6 비자 제도를 도입했지만, 실제 중소기업에 취업하려면 기준이 지나치게 까다로워 산업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제도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D4-6 비자로 입국한 외국인이 취업하려면 숙련인력 비자(E7-4)로 변경해야 하는데, 이 조건이 너무 엄격해 기술 교육을 마치면 본국으로 돌아가거나 불법 체류자 방식으로 한국에 남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며 “이들을 생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비자 제도를 대폭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광석 인하대 다문화정책학과 교수도 “외국인이 자비로 한국에 건너와서 기술교율을 마치고도 한국어 능력 시험 4급 및 기술자격증 획득이라는 엄격한 자격요건을 갖춰야만 취업이 가능하도록 돼 있어 산업현장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숙련인력으로 국내 고용이 수월하도록 자격 요건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남경 서울현대교육재단 이사장은 “일본은 학력과 나이 기준을 철폐해 필요한 외국인력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한국도 산업현장의 실정에 맞는 외국인 채용이 가능하도록
중소기업중앙회는 1일 여의도 본원에서 올해 제4차 소기업·소상공인공제(노란우산) 운영위원회를 열고 내년도 노란우산 운용계획안과 자산운용지침 수립안 등을 의결했다.
운용계획에는 공제항목 확대, 사회안전망 기여도 지표 개발, 복지서비스 확대 등 중요한 제도개선 방안 등이 포함됐다.
곽범국 중기중앙회 공제사업단장은 "노란우산이 소기업·소상공인의 든든한 사회안전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올해 7월 발표한 노란우산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내년도 사업계획을 충실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2007년 출범한 노란우산은 올해 10월 말 기준으로 재적가입자 172만명, 부금 25조원을 달성했다.
/연합뉴스
종합 인테리어 기업 현대리바트는 취향에 맞춰 식탁 상판과 다릿발 등을 선택해 조합할 수 있는 커스텀 식탁 ‘아르떼(arte) 컬렉션’을 내놓는다고 30일 밝혔다.
아르떼 식탁은 인테리어와 주거 형태에 따라 세라믹 상판의 크기·형태·무늬는 물론 다릿발 디자인까지 총 188가지 맞춤형 조합이 가능하다. 세라믹 상판의 형태(사각·라운드)와 크기(140·160·180㎝)를 선택한 뒤, 퓨어화이트·비앙코라사·마블카라카타 등 여덟 가지 무늬 중 한 가지를 결정하면 된다. 이후 소재(원목·스틸)와 색상(블랙·화이트·골드·크롬)을 고려해 취향에 맞는 디자인의 다릿발을 선택하는 식이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