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 ‘자체 소각’ 나선 개미들...“코인판 금모으기 운동”
입력
수정
"아무 효과 없을 것" 경고에도
"가격 다시 올리자" 서로 독려
한국산 암호화폐 루나와 테라USD(UST) 폭락 사태로 손실을 본 개미 투자자들이 자체적으로 루나 소각 움직임에 나섰다. 시장에 유통되는 루나 공급량을 줄여 가격을 끌어올리겠다는 의도에서다.
루나 소각은 개인 투자자들이 테라·루나 발행사인 테라폼랩스의 권도형 대표에게 ‘루나 부활’을 위해 요구해온 방안이다. 하지만 권 대표가 개인 투자자와 업계의 반대에도 기존 루나 소각 대신 새로운 루나·테라를 발행하는 ‘테라 2.0’ 프로젝트를 강행하면서 묵살됐다. 일부 투자자는 “테라폼랩스가 해야 할 일을 개인들이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권도형 대신 우리가 루나 소각"
4일간 약 3억개...전체 유통량 0.004%
이번 ‘루나 소각 운동’은 트위터에서 시작됐다. 권 대표는 지난 22일 트위터에서 “루나 소각 지갑 주소를 알려주면 우리가 대신 소각해주겠다”는 한 트위터리안에게 답글을 보내 암호화폐 지갑 주소를 공개했다. 이 지갑으로 코인을 보내면 거래가 불가능해져 전송량만큼의 코인이 시장에서 사실상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4일간 약 3억개...전체 유통량 0.004%
지갑 주소가 공개된 이후 25일 오전 9시까지 약 4일간 이 지갑으로 전송된 루나 코인은 총 2억9136만개에 달한다. 현재 루나 유통량이 6조5363억개 이상임을 고려하면 0.004% 규모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개인 투자자들은 “우리가 생태계를 복원시키자” “루나 가격을 1달러까지 다시 올리자”며 동참을 독려하고 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루나 가격은 이날 오전 10시40분 기준 전날보다 12.1% 오른 0.00018달러다.
루나 소각에 동참한 거래소도 있다. 거래량 기준 세계 30위인 멕스씨(MEXC) 거래소는 22~24일간 투표를 거쳐 ‘특별 루나 복구계획’을 개시하겠다고 최근 발표했다. 투표 참여자의 과반수가 찬성하면 거래소가 루나 거래 수수료 수익을 활용해 직접 루나를 사들이고 소각하겠다는 게 골자다. 투표 결과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권 대표가 해야 할 일을 거래소가 하고 있다”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도 동참하라”며 호응하고 있다.
권도형 "합리적으로 이해 안돼"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