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트와 럭셔리, 도시女男들이 머무는 그 사이 어디쯤…한섬의 패션 혁신
입력
수정
명품의 향기
시스템·시스템옴므
파리패션위크서 호평
한섬의 대표 여성복 ‘시스템’과 남성복 ‘시스템옴므’가 올해 가을·겨울 제품 생산부터 ‘선기획 시스템’을 도입했다. 시즌별로 내놓은 제품의 개발 완료 시점을 앞당겨 트렌드를 주도하겠다는 의도다. 과거엔 제품을 본격 판매하기 3개월 전에 신상품 개발을 마쳤다. 이젠 6개월 전에 대표 상품을 개발한다. 한섬은 이를 위해 자체 트렌드 예측 시스템을 갖췄다. 비용은 더 든다. 대신 준비를 미리 끝내는 만큼 국내외에서 제품을 동시에 출시할 수 있게 됐다. 시즌보다 6개월 이상 일찍 행사를 여는 파리패션위크 등 해외 유명 패션쇼에 참여하기 쉬워진 것도 과감하게 생산 구조를 바꾼 효과다.
도시 남녀를 위한 트렌디한 옷
시스템은 1990년 첫선을 보인 여성 영 캐릭터 캐주얼 브랜드다. ‘젊은 도시 여성’을 타깃으로 트렌디한 옷을 주로 선보인다. 시스템옴므는 2008년부터 판매한 남성복으로, 자유로운 감성을 중시하는 도시 남성을 타깃으로 한다. 자유로운 삶의 방식을 즐기는 전문직 남성, 2030 사회 초년생 등으로부터 고루 사랑을 받고 있다. 시스템옴므는 또 밀레니얼 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다양한 컬래버레이션(협업)을 하고 있다. 국내 유명 그래픽 아티스트 ‘비너스맨션’, 패션모델 출신 아티스트 ‘권철화’ 등과 협업한 제품군은 밀레니얼 세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또 올해 8월엔 식품업체 오뚜기와 손잡고 ‘시스템옴므×오뚜기’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한섬 관계자는 “원단이 남다르고 재봉, 디자인, 색감 등 모든 면에서 만족도가 높다는 평이 많았다”며 “특히 러시아, 덴마크, 쿠웨이트 등 예상하지 못한 나라와도 계약을 맺은 것이 올해의 성과”라고 말했다. 시스템과 시스템옴므는 현재 프랑스 파리에 있는 한섬의 편집숍 ‘톰그레이하운드’ 매장에서 의류, 신발, 클러치 등을 판매하고 있다.
역동적이고 과감한 스타일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