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환수 문화유산 공개…"몸은 대동여지도, 머리는 동여도인 지도"
백두산 군사시설·울릉도 배 관련 정보도…기존과 다른 구성·내용 주목
'대동여지도' 한계 보완해 상세하게…희귀 지도 日서 돌아왔다(종합)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1804 추정∼1866 추정)가 만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각종 지리 정보를 손 글씨로 써넣은 새로운 지도가 국내로 돌아왔다.

기존에 알려진 대동여지도와는 구성이나 내용이 다른 사례라 주목된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30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설명회를 열고 "목록 1첩(帖·묶어 놓은 책), 지도 22첩 등 총 23첩으로 구성된 '대동여지도'를 일본에서 환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가로 20㎝, 세로 30㎝ 크기의 책자가 여러 개 있는 형태다.

우리나라 전체를 동서, 남북으로 각각 나눠 표현한 첩을 모두 펼치면 가로 4m, 세로 6.7m 크기의 대형 지도가 된다.

마치 병풍처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끔 한 전국 지도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이 지도는 1864년 제작된 대동여지도 목판본(木板本)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정호는 1861년 대동여지도를 처음 찍어낸 뒤 3년 뒤인 1864년에 지도를 다시 펴냈다.

당시 초판과 재판의 간행 부수는 확실하지 않으나 현재 30여 점이 넘는 판본이 국내외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동여지도' 한계 보완해 상세하게…희귀 지도 日서 돌아왔다(종합)
새로 존재가 확인된 지도에서 가장 눈여겨볼 점은 내용이다.

지도는 나무판으로 찍어낸 대동여지도에 가필(加筆·글이나 그림 따위에 붓을 대어 보태거나 지워서 고침)하거나 색칠했는데, 19세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동여도'(東輿圖) 내용이 담겨있다.

동여도는 손으로 그리거나 써서 만든 필사본(筆寫本) 지도로 조선시대의 교통로, 군사 시설 등의 지리 정보와 1만8천여 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다.

한반도의 윤곽, 도로망 등이 대동여지도와 비슷해 학계에서는 김정호가 제작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번에 들어온 지도는 영토의 역사, 지도 제작법, 지도 사용법 등을 여백에 적어 놓은 동여도의 주기(註記) 내용을 필사해 넣었다.

세부 지명이나 지도 관련 정보 등을 담지 못했던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보완한 것으로, 지도 하나에 대동여지도와 동여도가 모두 담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두산 일대를 묘사한 제2첩에는 1712년 조선과 청나라 사이 국경선을 표시하기 위해 세운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적혀 있다.

'대동여지도' 한계 보완해 상세하게…희귀 지도 日서 돌아왔다(종합)
일반적인 대동여지도 판본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 울릉도 일대를 묘사한 제14첩에는 울릉도로 가는 배의 출발지 등의 정보가 적혀 있다.

인쇄본으로 만든 대동여지도에 미처 싣지 못한 지명, 지도 관련 정보 등을 보완한 사례로 보인다고 문화재청은 전했다.

대동여지도가 보급되면서 나타난 변용된 형태라는 설명이다.

구성 방식 역시 기존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환수한 유물은 목록과 지도 등 23첩으로 돼 있는데 동여도 형식과 같다.

국내 소장 유물을 비롯한 일반적인 대동여지도는 목록이 따로 없으며 22첩이다.

대동여지도 판본에서는 2면에 걸쳐 인쇄된 강원 삼척 지방과 울릉도 일대가 이번 지도에서는 1면으로 축소돼 배치된 점 역시 동여도의 배치 형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은 1864년에 발간된 '갑자본' 대동여지도와 동여도가 희소한 만큼 이번에 환수한 지도의 문화·학술적 가치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지도를 누가, 어떤 목적으로 소장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김기혁 부산대 명예교수는 "이번 지도는 몸은 대동여지도이고, 머리는 동여도"라고 강조했다.

'대동여지도' 한계 보완해 상세하게…희귀 지도 日서 돌아왔다(종합)
김 교수는 "현재 남아있는 김정호의 친필과 비교하면 (김정호의 필체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며 "적어도 동여도를 접할 수 있는 지식인, 상당히 높은 수준의 지식인이 썼으리라 추정된다"고 말했다.

재단 관계자는 "자문 결과 당시 관아에서 일하는 사람, 무역하고 싶어 하는 상인 등이 썼으리라 추정된다는 의견이 있었다.

대동여지도에 동여도 정보까지 더해진 만큼 아무에게나 주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단은 지난해 7월 일본의 한 고서점이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뒤 자료 검토, 전문가 평가 등을 거쳐 복권기금으로 구매했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목판본 대동여지도와 동여도를 (지도) 하나로 담은 희귀한 문화유산"이라며 "조선시대 지리 정보 연구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도록 조사·연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는 대동여지도 3건과 이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된 나무판 등 총 4건이 보물로 지정돼 있다.

동여도의 경우,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대 규장각이 각각 소장한 유물이 보물로 관리되고 있다.

김 교수는 "그동안 국내외에서 존재가 확인된 대동여지도는 35점 정도였다"며 "최근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의 기증품 가운데 2점이 새로 확인돼 환수된 유물까지 포함하면 총 38점"이라고 말했다.

'대동여지도' 한계 보완해 상세하게…희귀 지도 日서 돌아왔다(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