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당을 잊지마라…난, 빌런을 그리는 빌런
악당을 뜻하는 단어 ‘빌런(villain)’. 영웅 서사가 담긴 영화나 만화 속에서 어김없이 주연보다 더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이들이다. 빌런 없이는 히어로도 없고, 극의 긴장감도 없다. 놀랍게도 이 단어는 ‘농부’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고대 로마의 농장에서 일하던 일꾼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어쩌면 가장 평범한 이들이 모두 빌런일 수 있다고, 이 평범한 이들 없이는 세상이 제대로 돌아갈 수 없다고 역설하려던 것일까.

영화 속의 빌런들은 꽤 오랫동안 슬픈 존재였다. 뜨거운 에너지로 작품의 온도를 끓어오르게 하지만, 늘 영웅(또는 선한 자)에게 밀리거나 잊혀지는 존재. 빌런의 내면을 다층적으로 다룬 ‘수어사이드 스쿼드’(2016), ‘조커’(2019), ‘크루엘라’(2021)와 같은 영화가 등장한 건 불과 몇 년 사이 벌어진 일이다.

48명. 세기의 영화와 드라마 속 빌런의 표정을 포착해 흑백의 강렬한 인물화로 그려낸 이가 있다. 그림을 그리는 배우이자 연기하는 화가 박기웅(38)이다. 올해로 20년차인 그는 최고의 악역 전문 배우다. 드라마 ‘추노’, 영화 ‘최종병기 활’과 ‘각시탈’ 등 여러 작품에서 악역을 도맡아 매번 화제작으로 만든 주인공이다. 그런 그가 그린 악당의 얼굴은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 빼곡히 걸려 있다.
 박기웅 작가 ‘히스 레저의 조커’
박기웅 작가 ‘히스 레저의 조커’
연예인이 미술계에 뛰어들어 ‘아트테이너’가 되는 사례는 요즘 흔해졌지만 박기웅은 좀 다르다. 여섯 살 무렵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미대(시각디자인과)를 나온 전공자. 영화판에선 ‘미대 나온 변종’으로, 미술판에선 ‘배우인데 그림에 빠진 변종’으로 경계인의 삶을 살고 있는 그를 지난 22일 전시장에서 만났다.

▷이번이 세 번째 전시다. 왜 빌런을 주제로 그림을 그렸나.

악역을 하다 보니 악역에 대한 애정이 커졌다. 빌런은 두 종류다. 그만의 인생이 있거나, 또는 없거나. 삶의 내러티브가 있는 빌런은 입체적이다. 이 캐릭터들을 연기한 배우들에 대한 존경, 그런 연기를 하는 순간의 감정을 그려내고 싶었다. 타이타닉과 매트릭스를 안 본 사람은 거의 없을 텐데, 거기 나온 악역은 사람들이 이름조차 잘 기억 못한다. 타이타닉의 빌리 제인이나 매트릭스의 스미스 요원처럼…. 절대적인 역할인데 잊혀진 악역들을 재해석하고 싶었다. 그래서 작품마다 영화와 인물명을 써놓지 않았다. 다 보고 난 뒤 각자의 기억을 떠올리고, 전시장 마지막에서 영화와 역할명, 배우명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작품을 흑백으로 그린 이유는.

다 빼고 싶었다. 인물의 감정만 더 섬세하게 표현하고 싶었다. 색채가 있으면 표현이 더 편하지만 흑과 백으로만 채색하는 건 화가의 그림 실력을 낱낱이 보여줄 수밖에 없는 작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을 보는 사람들이 그저 빌런의 눈빛과 표정, 그 안에서 읽을 수 있는 감정에 공감할 수 있길 바랐다. 친구들은 “앰프도 없이 길거리 버스킹을 하는 것”이라고 걱정도 하더라.(웃음) 그래도 온전히 다가가고 싶었다.

▷멀리서는 비슷하게 보이는 그림들인데 가까이서 보면 다 다르다. 구체적인 창작 과정이 궁금하다. 자신만의 특징이 있다면.

그림을 그린 시간은 1년 반 정도 걸렸다. 사실 대학을 준비할 때 실기도 이론도 모두 1등을 한 기억이 있는데, 다른 작가들보다 내가 손이 빠른 건 다들 인정하는 부분이다. 연기는 길거리 캐스팅으로 우연히 하게 됐다. 아마 원하는 미술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스스로에 대한 분노 같은 게 더 연기에 몰입하게 한 것 같다.

흑백의 인물화는 어려운 도전이었지만 스스로 뭔가 동기부여가 되지 않으면 못하는 성격이다. 이 작업을 하면서 흰 물감은 다섯 가지, 검은 물감은 네 가지 정도를 썼다. 붓도 캐릭터에 따라 다르게 사용했다. 부드러운 모로 작업하거나 거친 캔버스를 고르기도 했다. 샤이닝의 잭 니컬슨은 족제비털 기반의 털로, 매드맥스의 휴 키스번은 거친 모로 그렸다. 때로 정말 두꺼운 붓만으로 슥 그려내는 방법도 썼다.
롯데월드 서울스카이에서 관람객들이 박기웅 작가의 작품을 감상중이다.
롯데월드 서울스카이에서 관람객들이 박기웅 작가의 작품을 감상중이다.
▷배우가 포착한 배우의 찰나들이 흥미롭다. 영화의 장면들이 생생하게 생각날 정도로 강렬하다. 어떤 순간을 포착한 건가.

촬영장에선 “레디~”와 “액션!” 사이에 1~2초의 순간이 존재한다. 배우와 스태프들의 집중력이 온전히 응축되는 팽팽한 긴장의 순간이다. 마치 출발선에 선 달리기 선수처럼…. 그 찰나를 사용하는 방식은 배우마다 다르다. 누구는 감정을 한껏 끌어올리는가 하면 누군가는 오히려 이완한다. 그 집중력이 담긴 감정은 순도 100%다. 배우가 보는 배우의 얼굴엔 그 순간의 감정이 짜릿하게 전해지는 때가 있다. 움찔거리는 어떤 근육의 움직임 같은 것도 나도 배우이기 때문에 더 잘 잡아낼 수 있었던 것 아닐까.

▷빌런을 연기할 때, 빌런을 그릴 때 다를 것 같다. 배우 박기웅과 작가 박기웅은 어떻게 다른가.

미술을 전공했지만 틈틈이 그릴 뿐 20년간 연기에만 몰입했다. 연기는 공동 예술이고, 그림을 주로 혼자 그린다. 두 활동의 시너지가 크다. 그런데 배우로서의 스트레스는 캔버스 앞에서 창작으로 풀고, 창작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연기로 해소한다.

▷왜 48명인가.

전시 기획 자체는 독일 미술계의 거장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48포트레이트’에서 영감을 받았다. 세상을 개척한 위인의 모습을 70×50㎝ 크기로 담은 작품인데, 작은 크기의 초상화만으로 벽 하나를 채운 전시가 획기적인 발상이었다고 들었다. (원래는 내 마음속에 영웅 못지않은 카리스마를 가진 빌런들, 어린 시절 나를 사로잡았던 영화 속 빌런의 초상화를 200점 안팎으로 파르테논 신전처럼 쌓아 올리고 싶었다.) 그러다 리히터를 떠올렸다. 48은 참 재미있는 숫자다. 3단으로 쌓아 올려도, 4단으로 전시해도 정확히 사각형이 만들어지니까. 이번엔 그를 차용해 48명으로 좁혔다.

▷당신에게 그림이란, 연기란 무엇인가.

나에게 배우란 서비스업 종사자다. 보는 사람들이 정확하게 배우의 감정에 이입할 수 있고, 나도 모르게 공감할 수 있는 만드는 게 연기다. 혼자 감정에 취하면 결코 보는 이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 감정을 전염시켜야 하는 게, 그래서 온전히 그 캐릭터에 몰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배우의 일이다. 그림도 다르지 않다. 모든 예술은 결국 소통이라고 생각한다. 무엇을 전달하고 싶은지, 나의 창작 의도를 온전히 표현할 수 있는 ‘쉬운 미술’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두 분야 모두 예술로서 세상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아마 스쳐가거나 잊혀진 존재들을 다시 보게 하는 것 아닐까 싶다. 영화를 볼 때도 힘줘서 만든 하이라이트 장면 말고 스쳐가는 컷이 훨씬 더 아름다울 때가 있다. 그런 것들을 빛나게 하고 싶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