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서울 동대문 DDP에서 열린 2023 FW 서울패션위크에는 특별한 셀럽이 등장했다. 치명적 귀여움으로 시선을 강탈한 주인공은 바로 핑크색 곰 캐릭터 벨리곰.식품유통업계를 중심으로 꾸준하게 펼쳐지던 캐릭터 마케팅이 지난해 포켓몬빵 열풍 이후 업종을 가리지 않고 확산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 마케팅 홍수 속에서 효자로 떠오른 캐릭터는 어떤것이 있을까2018년 롯데홈쇼핑 MZ세대 직원 아이디어에서 탄생한 캐릭터 벨리곰은 ‘일상 속에 웃음을 주는 곰’ 콘셉트를 바탕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깜짝 카메라’ 영상이 입소문 나면서 145만 SNS 팬덤을 보유한 인기 캐릭터가 됐다. 지난해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초대형 벨리곰 전시에는 325만명이 몰렸고 그해 8월 발행한 벨리곰 NFT는 9500개 물량이 오픈 즉시 완판됐다. 또한 1년 여간 팝업스토어·자체 쇼핑몰 벨리곰 굿즈 판매액은 20억원에 달한다. 지난 2월 롯데월드에서 열린 벨리곰 NFT홀더를 위한 ‘벨리 파티’에는 5000여명이 참석했다.국내에 이어 미국 독일 등서도 초대형 전시로 인지도를 높인 벨리곰은 올해는 18m로 더 커진 모습으로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광장에 재등장한다. 뿐만 아니라 서울 광화문서 열리는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기원 행사, 서울 관광문화 축제인 서울 페스타 2023, 신진 디자이너들과 함께하는 ‘이상한 DDP의 벨리곰’ 전시 등 바쁘게 활동하고 있다국내외를 넘나드는 활약으로 국내 대표 캐릭터로 떠오른 벨리곰은 ‘2022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대통령상을 받았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벨리곰의 시장 평가 가치는 1000억원에 달한다.한국콘텐츠진
콘진원 성과보고회 콘텐츠 인사이트' 강연 "웹툰은 영화나 드라마에 비해 아주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어요. 저렴한 제작비로 (이야기의) 시장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시험대라고 생각합니다. " 웹툰 'D.P. 개의 날'을 그린 김보통 작가는 30일 서울 동대문구 홍릉 콘텐츠인재캠퍼스에서 열린 '콘텐츠 인사이트' 행사에서 '웹툰이 슈퍼 IP(지적재산)의 근간이 되는 이유'라는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작가는 'D.P. 개의 날' 원작자이자, 이를 바탕으로 만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D.P.'에서 한준희 감독과 공동 각본을 맡아 이름을 알렸다. 그는 "요즘에는 웹툰 원작이 있는지가 배우들이 (드라마·영화) 작품을 고르는 기준 가운데 하나가 됐다는 이야기도 있다"며 "대중에게 사랑받았던 IP라는 것이 검증되면 상대적으로 캐스팅이나 투자에 굉장히 용이하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영화·드라마 제작사가 영상을 만들기에 앞서 웹툰부터 제작해보려는 흐름이 감지된다고도 설명했다. 김 작가는 "'D.P.'가 론칭되고 나서 영화·드라마 제작사들로부터 자신들이 보유한 IP를 웹툰으로 만들어 달라는 제안을 많이 받았다"며 "저뿐만 아니라 웹툰 프로덕션에도 많은 제안이 가고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웹툰 IP가 지닌 확장성도 장점으로 꼽았다. 그는 "웹툰을 하나 만들어두면 프리퀄(전 이야기), 시퀄(뒷이야기), 스핀오프(파생 이야기), 영화, 후속 웹툰, 드라마, 뮤지컬, 최근에는 창극으로도 만들어진다"며 "굉장히 확장성이 좋은 IP"라고 강조했다. 디즈니+ 드라마 '카지노'·영화 '범죄도시' 등을 만든 강윤성 감독은 이날 강연에서 '카지노' 제작 뒷이야기를 털
영국 미술매체 아트뉴스페이퍼 집계…1위는 772만명 루브르박물관 지난해 관람객 수 기준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전세계 미술관(박물관) 중 5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영국에 본부를 둔 미술매체 아트 뉴스페이퍼가 지난해 미술관 관람객 수를 조사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관람객 수가 772만6천여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바티칸시티에 있는 바티칸 박물관(약 508만명), 영국 런던에 있는 영국박물관(약 409만명), 테이트 모던(약 388만명)이 뒤를 이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관람객 약 341만명으로 5위에 올랐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을 비롯한 4개 분관에 약 180만명이 방문해 21위를 기록했다. 아트 뉴스페이퍼는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눈에 띈다"라면서 지난해 서울에서 처음 열린 프리즈 아트페어가 서울의 미술관 관람객 수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했다. 전 세계적으로는 1억4천100만명이 미술관을 찾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2020년보다 거의 3배 가까이 관람객이 늘었지만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전인 2019년의 2억3천만명과 비교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이 매체는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