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수 2021년 12월 29만명→올해 3월 53만6천명 지난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들이 월평균 1만3천원의 교통비를 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2022년도 이용실적을 분석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때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최대 800m)에 비례해 최대 20%의 마일리지를 지급하고 카드사가 약 10%의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교통카드다. 조사 결과 이용자들은 마일리지 적립액 9천245원, 카드할인 4천124원 총 1만3천369원을 아껴 월평균 대중교통비 지출액(6만2천716원)의 21.3%를 절약했다. 저소득층 이용자의 경우 작년 월평균 1만7천657원을 아껴 2021년(1만5천571원)보다 대중교통비 부담이 더 경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광위는 물가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혜택을 확대했고, 저소득층 가입자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2021년 12월 29만명에서 2022년 12월 48만7천명, 올해 3월 53만6천명으로 증가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 횟수는 월평균 39.6회로 2021년 대비 0.7회 증가했고, 20대(40%)와 30대(34%)가 많이 이용했다. 만족도 설문조사에서는 92.0%가 매우 만족 또는 약간 만족이라고 답했다. 95.1%는 알뜰교통카드가 교통비 절감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알뜰교통카드 앱 사용 안정성과 실행속도, 조회·정보 업데이트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알뜰교통카드로 고물가 시기에 국민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릴 수 있게 됐다"며 "7월부터 적립 한도를 늘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업이 시행되면 교통비 부담 완화 효과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도시철도 1회용 승차권이 마그네틱 방식(자성승차권)에서 QR코드 방식(QR승차권)으로 바뀐다. 부산교통공사는 오는 4월 1일 QR승차권을 도입한다고 21일 밝혔다. 공사는 1985년 부산도시철도 1호선 개통 이후 현재까지 38년 동안 자성승차권을 운영 중이다. 종이로 된 자성 승차권을 운영 중인 곳은 전국에서 부산이 유일하다. 4월부터 승객들은 대합실 내 통합자동발매기에서 QR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고, 인쇄된 QR코드를 게이트에 인식시키면 승강장 출입이 가능하다. 공사는 QR승차권 도입 초기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까지 기존 자성승차권을 병행 운영하면서 QR승차권 설비를 확충할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모바일 앱을 통한 QR승차권 결제와 이용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한문희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QR승차권 도입은 전국에서 처음"이라며 "도시철도 승객의 편의를 높이고 미래 디지털 교통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광주·전남 KTX 정차역 이용객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광주전남연구원이 발간한 '한눈에 보는 광주전남 이슈 &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평균 KTX역 이용객은 광주 송정역 1만1천444명, 순천역 4천834명, 목포역 4천235명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 전년 대비 적게는 28.5%(여천역), 많게는 40.2%(여수엑스포역)까지 떨어진 이용객 수는 2021년 소폭 상승해 지난해에는 2019년 수준을 회복했다. 2019년에는 광주 송정역 1만2천194명, 순천역 3천966명, 목포역 4천213명이었다. 2014년과 2022년 일평균 이용객을 비교하면 광주 송정역은 3천327명에서 8천117명이 늘었으며 증가율 기준으로는 나주역이 428명으로 1천905명으로 늘어 최대폭을 기록했다. 2015년 전라호남선, 2016년 SRT 개통과 광주역의 송정역으로 기능 이전 등이 증가 요인으로 꼽혔다. 순천역, 여수엑스포역 등은 KTX 개통으로 인한 접근성 향상이 관광객 증가로도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통계는 한국철도공사 자료를 토대로 작성됐다. 최훈도 광주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시·도민 이동 편의를 위해 남해안 고속철도 조기 완공, 달빛 고속철도 조기 착공 등으로 노선을 신속히 확충해야 한다"며 "KTX역 주차장 확충, 복합환승센터 조성, 대중교통 연계 방안 마련 등으로 접근성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