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천시와 서울교통공사 사이에 지하철 7호선 부천 연장선 운영을 둘러싼 대립이 장기화하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가 중재에 나섰다.
30일 부천시 등에 따르면 대광위는 7호선 부천 연장선(온수역∼상동역) 운영을 서로 미루고 있는 부천시와 서울교통공사를 중재하기 위해 최근 부천시·서울시 철도 담당자들을 만나 논의했다.
부천시는 해당 철도 노선 소유 기관이고 서울시는 서울교통공사 관리·감독기관이다.
대광위는 두 기관의 입장을 청취했으나 아직 중재안은 내놓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현재 노선 임시 운영사인 인천교통공사가 오는 3월 28일 이후에는 면허 만료로 노선을 운영할 수 없는 탓에 조만간 중재안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광위 관계자는 "7호선 부천 연장선 운영과 관련해 부천시와 서울시 입장을 듣고 각 기관이 이행해야 할 부분을 파악했다"며 "노선이 중단없이 운영되도록 원만하게 조율하겠다"고 말했다.
부천시와 서울교통공사는 해당 노선의 임시 운영 만료 기한이 다가오자 서로 운영을 미루며 갈등을 빚고 있다.
부천시는 노선이 준공된 2012년부터 10년간 위탁으로 노선 운영을 맡았던 서울교통공사가 다시 운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준공 당시 체결한 운영협약에 '노선 시설물이 존재하는 한 부천 연장선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는 내용이 있다는 점을 그 근거로 들고 있다.
반면 서울교통공사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상 위탁운영은 최대 10년간만 할 수 있어 더는 운영할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운영협약과 관련 법이 상충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대광위가 중재하더라도 논의를 진전하기 어렵다는 게 우리 공사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부천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부천시는 노선을 운영할 조직과 시설이 없어 인천교통공사와 서울교통공사에 위탁할 수밖에 없다"며 "다음 달 초 대광위가 부천시·서울시·인천시와 서울·인천교통공사 등 5개 기관이 참석하는 회의를 열 예정이어서 중재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일 오후 2시 30분께 서울 용산정비창 부지 공사장에서 6·25 전쟁 당시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불발 항공탄이 발견됐다. 소방당국과 경찰·군 등에 따르면 공군 폭발물처리반(EOD)은 이날 오후 5시께 용산구 한강로3가 정비창 부지에서 토지 정화 작업을 하던 중 발견된 불발 항공탄 1발을 수거했다. 공군은 해당 불발탄을 폐탄 저장고에 보관했다가 추후 기폭 처리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6·25 전쟁 당시 매설된 폭발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용산정비창 부지는 서울 한복판의 마지막 남은 '금싸라기땅'으로 불리는 곳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 부지를 '용산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민호 세종시장은 20일 시가 추진하는 시내버스 요즘 전면 무료화 시책과 관련, "당초 계획대로 2025년부터 전면 시행하는 것보다 내년에 일부 구간에서 시범 시행하고 추후 확대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9∼18일 미국 보스턴과 워싱턴D.C. 등을 방문하고 돌아온 최 시장은 이날 시청 정음실에서 한 기자간담회에서 "1년 전 시내버스 요금 무료화 시책을 도입한 보스턴도 전면이 아닌 일부 노선 대상으로 이 시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시내버스 요금을 전면 무료화하려면 재정 부담이 크지만, 각 가구의 기름값 절감과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 개선 효과 등 긍정적인 요인도 적지 않다"며 "관련 연구용역이 마무리 단계인데, 결과가 나오면 상세하게 보고하겠다"고 덧붙였다. 자신이 거부권을 행사한 '출자·출연기관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이 시의회를 통과한 것에 대해서는 "국민의힘 소속 한 의원의 실수에서 비롯됐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실체적 진실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한 뒤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관 임원추천위원회 구성에 관한 내용인 조례 일부 개정안은 최근 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됐는데, 민주당 의원 13명, 국민의힘 의원 7명인 상황에서 예상 밖으로 가결 정족수인 14명 찬성이 나온 바 있다. 최 시장은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설치 조례'가 최근 시의회에서 보류된 것에 대해서는 "2025 국제금강정원박람회와 2027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등 지역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의 성공 개최를 위해 이 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관련 조례 통과를 위해) 시의회와 대화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주요 사업부서장·지역본부장 등 경영진 38명과 '부서장 책임경영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코레일은 매년 사업별 특성화 지표를 설정해 계약을 맺고 부서장 권한·책임을 보장하는 등 경영 자율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책임경영계약에서는 철저한 기본 지키기로 절대 안전 체계 구축, 근무 기강 확립, 합리적 노사관계, 경영 개선 등의 경영 목표가 반영됐다. 고준영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경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각 부서장이 뚜렷한 목표를 갖고 힘을 모아달라"며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코레일을 만들자"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