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에 우유를 넣으면 일반 커피보다 항염 효과가 2배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팀은 지난달 30일 '농업 및 식품화학 저널(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을 통해 우유 속 단백질 성분과 커피가 만났을 때 우리 몸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커피와 우유에 각각 함유된 폴리페놀(polyphenols)과 아미노산 성분을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폴리페놀은 대표적인 항산화물질로 체내 세포를 공격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해 몸속 염증을 예방하고, DNA와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피를 포함한 과일, 향신료, 채소 등에 함유돼 있다.연구팀은 면역세포에 인공적으로 염증을 유발한 뒤, 한 그룹엔 아미노산과 폴리페놀을 섞어 투여하고 다른 그룹엔 동일한 양의 폴리페놀만을 투여했다.그 결과, 폴리페놀과 아미노산의 조합으로 처리된 면역 세포에서 폴리페놀만 투여한 세포보다 항염증 효과가 2배 더 높게 나타났다.마리안 니센 룬드 코펜하겐대 교수이자 연구 저자는 "폴리페놀이 아미노산과 반응함에 따라 면역 세포의 염증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가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연구는 야채에 고기를 곁들이거나, 스무디에 우유나 요구르트 등을 첨가하면 비슷한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동물 실험 등 후속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농업 및 식품화학 저널'에 게재됐다.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비만한 사람의 뇌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뇌 위축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두 대상 모두 뇌 부위가 얇아지고 위축되는 등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2일(현지시간) 미국 NBC 뉴스에 따르면 캐나다 맥길 대학 몬트리올 신경학 연구 병원의 필립 모리스 교수 연구팀이 미국 알츠하이머병 신경영상 계획과 영국 바이오뱅크의 데이터베이스(data base) 중 1300여 명의 뇌 스캔 영상을 분석한 결과, 비만한 사람과 치매 환자는 학습·기억·판단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비슷하게 얇아지고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 저널' 최신 호에 실렸다.뇌 부위가 얇아진다는 것은 뇌세포 수가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대뇌 표면에 위치하는 신경세포들의 집합체인 대뇌피질(cerebral cortex) 두께가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대뇌피질은 우리 몸에서 언어, 지각, 장기 기억, 판단 등 뇌의 고등 기능을 담당하는 곳이다.이 연구 결과와 관련, 사브리나 다이아노 컬럼비아 대학 메디컬센터 인간 영양 연구소장은 "비만한 사람과 치매 환자는 신경퇴화로 면적이 줄어든 부위를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이는 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이라고 평가했다.다만 비만한 사람들은 인지기능 검사에서 뚜렷한 뇌 결함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팀은 뇌 영상에서 나타난 위축과 관련된 인지기능의 미세한 변화를 정신 기능을 평가하는 인지기능 테스트로는 잡아낼 수 없기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피츠버그 대학 의대 인지장애과 소속 신경 전문의 조지프 맬론 박사는 "비만한 사람들에
중국 현지에서 오는 3∼5월 코로나19가 재유행할 수 있다는 전염병 전문가의 관측이 나왔다.보도에 따르면 화중과기대 부속 퉁지(同濟)의원 전염병 주임인 싱밍여우 교수는 최근 장강일보의 인터넷 생방송에 출연 "코로나19에 감염된 이후 체내 항체는 3∼6개월 이후 서서히 감소하게 되며, 이때 새로운 바이러스 변이가 출현하면 재감염될 확률이 높아 새로운 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어 "중국에서 작년 12월부터 코로나19가 확산한 점을 고려하면 오는 3∼5월 재유행의 정점을 맞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싱 교수는 "코로나19는 주로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이 재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유효한 수단"이라며 "공공 밀집 장소에서는 필수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백신 추가 접종이 재감염 확률을 낮추거나 감염 시기를 늦출 수 있다"며 "1차 감염 때 폐렴 등의 증세로 치료받은 사람은 완치 후 6개월 내 추가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작년 말 방역 완화 이후 중국에서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급증했으나 올해 들어 확산세가 수그러들며 진정 기미를 보인다.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는 1일 중국의 코로나19 감염 사망자가 지난달 4일 하루 4273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지난달 30일에는 434명을 기록, 정점 대비 89.8% 감소했다고 발표했다.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