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편의 영화에는 수많은 사람의 땀과 눈물이 담겨 있다. 지금 이 순간 스크린에 걸린 영화들은 따지고 보면 지난 130여 년간 영화인의 성공과 실패로 얻은 노하우가 차곡차곡 쌓인 결과물이다.다음달 1일 개봉하는 데이미언 셔젤 감독의 영화 ‘바빌론’은 위대한 130년 영화 역사에 바치는 헌사와 같은 작품이다. 셔젤 감독은 영화 ‘라라랜드’ ‘위플래쉬’ ‘퍼스트 맨’ 등을 만든 인물이다. 그는 화려한 할리우드 영화계를 아름답지만 위태로운 고대 도시 바빌론에 비유했다. 이 작품엔 브래드 피트, 마고 로비, 디에고 칼바 등 250여 명의 배우가 등장한다.바빌론의 배경은 1930년대 할리우드다. 최고의 배우 잭 콘래드(브래드 피트)와 스타가 되고 싶은 넬리 라로이(마고 로비), 영화계 입성을 꿈꾸는 웨이터 매니 토레스(디에고 칼바) 등이 할리우드 영화인이 모인 광란의 파티에 참석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탐욕과 쾌락만이 가득한 이 파티는 당장의 성공에 도취해 곧 불어닥칠 위기를 인지하지 못하는 할리우드 영화계를 의미한다. 앞 부분만 보면 할리우드를 비판하 는 영화로 읽힌다. 파티가 끝나면서 스토리는 예상과 다 르게 흐른다. 파티 다음날 콘래드와 라 로이, 토레스는 모두 한 촬영장에 모인다. 조금이라도 더 멋진 장면을 뽑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제작진과 배우들의 모습이 이어진다. 영화계에 몸담고 있는 사람은 물론 보통의 영화 애호가에게도 코끝 찡한 감동을 선사한다.기술 발전과 트렌드 변화가 영화에 미치는 영향은 예나 지금이나 그대로다. 셔젤 감독은 무성 영화시대에서 유성 영화시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나온 혼란을 라로이의 촬영 장면에 녹였
21:00 아트 인사이드뒤뷔페 그리고 빌레글레장 뒤뷔페의 특별 전시회 ‘뒤뷔페 그리고 빌레글레’는 프랑스 현대미술의 대표 작가로 평가받는 장 뒤뷔페와 그와 좋은 인연을 이어간 작가 자크 빌레글레의 작품 세계를 선보인다. 두 예술가의 삶과 예술, 교류 등을 다채롭게 조망한 이번 전시에 대해 공동기획자 김강산 우주스타 대표와 이야기를 나눈다. 백세영 한경아르떼TV PD <편성표>10:00 콘서트 리뷰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 ‘장난감 가게&다른 기차들’11:00 아르떼 라르고천재 모차르트의 구직활동11:30 아르떼’s 초이스기와를 타고 흐르는 클래식 선율17:00 더 마스터피스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2022 오프닝 콘서트19:30 TV콘서트 클래식와이드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음악명상콘서트 ‘반향 2022 : 묵(黙)’22:00 어메이징 오페라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1991년 홍익대 미대를 졸업한 최영욱 (59)은 예술가가 아니라 학원 원장의 길 을 택했다. 그가 학교 앞에 차린 입시미 술학원은 ‘대박’을 쳤다. “홍대 미대 입 학생 다섯 명 중 한 명을 배출한 학원” 이란 말이 돌 정도였다.하지만 원장 생활은 만족스럽지 않 았다. ‘영영 작가의 꿈이 멀어지는 것 아 닐까’라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결국 그 는 2000년대 초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 전업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뉴욕의 무명 화가’가 된 그의 눈에 어 느 날 메트로폴리탄미술관 한구석에 놓인 달항아리가 들어왔다. 뭔가 ‘한방’ 이 있지만 관람객들은 눈길도 주지 않 는 그 달항아리에 자신의 모습을 투영 했다. 그렇게 달항아리를 지켜보다 보 니, 시간이 흐르면서 도자기 표면에 생 긴 불규칙한 균열이 눈에 들어왔다. 그 균열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인생을 닮 았다고 생각했다. 여기에서 힌트를 얻 은 최 작가는 2007년부터 달항아리를 그린 뒤 거기에 균열 무늬를 넣은 ‘카르 마(業)’ 연작을 그리기 시작했다.무명 생활은 길지 않았다. 2011년 빌 게이츠 재단이 그의 그림을 세 점 구입 한 뒤 작품값은 계속 오르고 있다. 하나 은행이 서울 을지로에서 운영하는 미 술품 보관·전시공간 ‘H.art1(하트원)’에 서 그의 작품 20여 점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는 다음달 10일까지.성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