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수 별은 막내 딸이 길랭바레 증후군을 앓았다고 고백했다.그는 한 예능프로그램에 출연해 아이가 힘들어하던 때를 떠올리며 "아이가 아픈 건 또 다르더라. 내가 대신 아파주고 싶었다"고 했다. 이어 "아이가 아픈 이후로 남편이 술을 많이 줄였고, 낫게 해달라고 기도할 때 뭐 하나라도 걸어야 할 것 같다면서 결혼할 때부터 약속했던 담배도 끊었다"며 간절한 마음으로 딸의 쾌유를 빌었다고 전했다.별이 딸의 희귀병 투병 사실을 알린 건 지난해 9월. 당시 그는 "길랑바레라는 이름도 처음 들어보는 병"이라면서 "혼자서 제대로 서지도 걷지도 못할 만큼 아팠던 아이가 이젠 엄마 손을 놓고도 스스로 걷고 선다"고 전해 많은 이들의 응원을 받았다.길랑바레 증후군은 말초신경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급성 마비성 질환이다. 연간 인구 10만 명당 0.8~1.8명 정도 발생하는 희귀질환으로 30~40대의 젊은 층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드물게 어린아이들에게도 발병한다.주로 하반신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 초반에는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정도로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단순한 피로감, 스트레스 등으로 오인하기 쉽다. 대부분 감기처럼 가벼운 열로 시작해 평균 10일 전후로 갑자기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 손발의 감각이 둔하거나 저리다가 점차 걷기 힘들어진다. 이후 증상이 발목, 무릎, 허벅지, 몸통 등 점차 위로 올라온다. 증상이 심해지면 호흡곤란이 올 수도 있다.아직 원인이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완치를 위한 특별한 치료법도 없다. 발병 후 증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특성이 있어 급성기 동안에는 호흡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혈장 분리 반출술과 면역 글로불린 주사
비염은 맑은, 부비동염은 누런 콧물…"방치하다간 수술 치료 필요할 수도" 비염과 부비동염(축농증)은 각기 다른 질환이지만 '콧물'이라는 증상이 유사하다. 두 질환에서 비롯된 콧물은 답답하고 지긋지긋할 뿐만 아니라 안면부 압박감과 두통까지 유발한다. 하지만 이런 콧물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칫 부비동염을 비염으로 생각해 방치하면 수술로 치료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4일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소속 전문의들에 따르면 비염과 부비동염은 콧물이라는 증상이 비슷해 헷갈리지만, 콧물의 색깔을 유심히 관찰하면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비염의 콧물은 맑은 게 특징이다. 여기에 코막힘과 간지러움, 재채기 등이 동반된다. 원인이 알레르기에 의한 것이면 알레르기 비염, 그렇지 않으면 비(非) 알레르기 비염으로 구분한다. 알레르기 비염은 환절기의 꽃가루와 동물의 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민진영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은 원인이 되는 요인들을 피하는 게 증상을 완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일상생활을 지속하는 현실에서는 많은 제한점이 있다"면서 "따라서 비염의 치료는 완치라는 개념으로 접근하기보다 질환의 정도를 조절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는 게 더 맞다"고 말했다. 비염 치료에 가장 기본이 되는 건 약물이다. 가장 많이 쓰이는 약물은 콧속으로 분무하는 스프레이제다. 환자의 증상 완화 정도에 따라 콧물과 가려움증을 덜어주는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만약 증상이 심하고 반복적인 경우라면 원인물질(항원)로 면역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 원인이 되는 항원을 주사함으로써 알레르
커피에 우유를 넣으면 일반 커피보다 항염 효과가 2배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팀은 지난달 30일 '농업 및 식품화학 저널(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을 통해 우유 속 단백질 성분과 커피가 만났을 때 우리 몸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커피와 우유에 각각 함유된 폴리페놀(polyphenols)과 아미노산 성분을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폴리페놀은 대표적인 항산화물질로 체내 세포를 공격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해 몸속 염증을 예방하고, DNA와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피를 포함한 과일, 향신료, 채소 등에 함유돼 있다.연구팀은 면역세포에 인공적으로 염증을 유발한 뒤, 한 그룹엔 아미노산과 폴리페놀을 섞어 투여하고 다른 그룹엔 동일한 양의 폴리페놀만을 투여했다.그 결과, 폴리페놀과 아미노산의 조합으로 처리된 면역 세포에서 폴리페놀만 투여한 세포보다 항염증 효과가 2배 더 높게 나타났다.마리안 니센 룬드 코펜하겐대 교수이자 연구 저자는 "폴리페놀이 아미노산과 반응함에 따라 면역 세포의 염증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가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연구는 야채에 고기를 곁들이거나, 스무디에 우유나 요구르트 등을 첨가하면 비슷한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동물 실험 등 후속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농업 및 식품화학 저널'에 게재됐다.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