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을 찾은 일본인 관광객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공사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관광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국을 찾은 일본 관광객은 8만4175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 같은 달 1007명에 대비해 무려 8259%나 늘어난 숫자다.이러한 일본 관광객 폭증은 관광 무비자 입국 시행과 항공편 증편이 큰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2월 한 달간 한국과 일본을 오간 항공편은 2022년 11월대비 33.7% 늘어났고, 2021년 12월에 비해서는 895.1% 증가했다.더욱이 양국 간 무비자 입국 허용이 지난해 하반기에 시행됐고, 본격적인 항공편 증편 또한 연말인 11월 말부터 이뤄진 만큼 업계선 지난해 일본 관광객 폭증은 11월 말부터 12월, 즉 한달 반 만에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다.특히 일본인 방한 관광객이 중국인 관광객 수를 앞지른 것도 처음이다. 지난해 1년간 한국을 방문한 일본 관광객은 29만867명으로, 22만7358명을 기록한 중국인 관광객 수를 앞질렀다. 살아난 일본 방한 여행 수요에 관련 업계와 관광객을 주로 상대하던 소상공인들은 "한시름 놓았다"는 반응이다. 특히 3년간 부활 기미 없던 인바운드 여행업계는 관광객 맞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경 개방 초기부터 관광객이 몰리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 특수를 누릴 일만 남았다는 장밋빛 전망도 줄줄이 내놓고 있다.한 일본 전문 여행사 관계자는 “동남아 등 다른 국가가 빗장이 다 풀릴 때 일본만 계속 막혀 사업 활로가 막막했었다"며 "이렇게 국경이 풀리자마자 한 달만에 반전이 일어날 
SRT 운영사 에스알(SR)은 SRT 역사나 열차 이용 중 유실한 물건을 실시간으로 찾아볼 수 있는 유실물현황 조회 서비스를 1일부터 앱을 통해 서비스한다.SRT앱 MY SRT메뉴에 SRT 홈페이지 유실물 안내 페이지를 자동 연결해 앱에서도 손쉽게 유실물을 찾을 수 있도록 구축했다.다음 달에는 기존에 유실물 현황을 게시하던 역사 내 키오스크에도 SRT 홈페이지 유실물 안내 페이지를 자동 연계할 계획이다.이종국 에스알 대표이사는 “더욱 편리해진 유실물 조회 서비스를 통해 고객들이 유실물을 손쉽게 찾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SR의 고객서비스는 ‘다르다’라고 느낄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전북 장수군 남덕유산이 1일 눈으로 뒤덮여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굽이치는 능선마다 새하얀 눈이 내려앉아 겨울 산행에 나선 등반객에게 볼거리를 선사한다. 코발트 빛 하늘과 순백의 눈, 붉은색 겨울나무 군락이 어우러져 잊지 못할 절경으로 기억을 수놓는다. 호남과 영남의 경계를 이루는 덕유산은 전북 무주군과 장수군, 경남 거창군과 함양군에 걸쳐 있다. 일반적으로 위쪽에 있는 산을 덕유산, 아래쪽 산을 남덕유산으로 부른다. 덕유산 산행의 묘미는 겨울에 있다. 시야를 가리는 큰 나무 없이 광활하게 펼쳐진 설원 능선을 보기 위해 1∼2월에 많은 등반객이 꾸준히 이곳을 찾고 있다. (글 = 정경재 기자, 사진 = 독자 박용근씨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