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학회 "환자 4명중 1명만 혈당조절…국가 차원서 환자 폭증 대비해야"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보다 심근경색과 뇌졸중, 암 등의 중증 합병증으로 사망할 위험이 평균 55%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원규장)는 6일 서울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2022 당뇨병 팩트 시트'(Diabetes Fact Sheet)를 공개하고 당뇨병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당뇨병 환자, '심근경색·뇌졸중·암' 사망위험 55% 높다"
학회는 이날 발표한 당뇨병 팩트 시트가 그동안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당뇨병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팩트 시트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환자에게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이었다.

학회는 당뇨병 환자에게 두 질환이 함께 발병할 위험도가 당뇨병이 없는 사람보다 64%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암 발생도 당뇨병과 연관성이 컸는데, 이 중에서도 간암(74%), 췌장암(43%), 담도암(36%), 신장암(33%), 대장암(28%), 위암(19%)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학회는 이런 결과로 볼 때 당뇨병 환자가 암과 심혈관질환 등으로 사망할 위험이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견줘 평균 55%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이처럼 당뇨병 합병증에 의한 사망 위험이 커지고 있지만,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게 학회의 지적이다.

실제로 이번 분석에서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 중 당화혈색소가 목표치인 6.5% 이하로 조절되고 있는 비율은 4명 중 1명꼴인 24.5%에 그쳤다.

더욱이 당화혈색소가 8.0% 이상이어서 당장이라도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하는 비율이 19.5%에 달했다.

당화혈색소는 혈당이 증가해 적혈구 내 혈색소(헤모글로빈)에 포도당이 붙은 상태를 말한다.

이처럼 한번 붙은 당분은 적혈구가 수명을 다할 때까지 그대로 붙어 있기 때문에 적혈구의 수명(120일)이 유지되는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농도를 알 수 있다.

"당뇨병 환자, '심근경색·뇌졸중·암' 사망위험 55% 높다"
원규장 이사장은 "국내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2018년 13.8%에서 2020년 16.7%로 늘어나는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당뇨병은 이제 개인 질환을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돼야 할 필수 질환인 만큼 환자 폭증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더는 미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