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약 928만명 분석…"고령층, 저체중 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젊어서는 비만이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위험 요인이지만, 나이가 들면 오히려 저체중이 더 위험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이현정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당시 건강했던 927만8천433명을 상대로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심혈관질환(심근경색, 심부전 등) 발생 현황을 8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심혈관질환, 젊을 땐 비만·노년 땐 저체중이 더 위험"
BMI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것으로, 그 수치에 따라 저체중(18.5 미만), 정상체중(18.5 이상∼23 미만), 과체중(23 이상∼25 미만), 비만(25 이상), 고도비만(30 이상)으로 각각 분류된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젊은층(20~39세), 중년층(40~64세), 노년층(65세 이상)으로 나눠 BMI에 따른 심근경색과 심부전 위험도를 각각 비교 분석했다.

이 결과 젊은층에서는 비만도가 높아질수록 심근경색 위험이 비례해 증가했지만, 노년층에서는 비만보다 저체중일수록 이런 위험이 커지는 특징을 보였다.

심부전도 마찬가지로 젊은층에서는 비만의 영향이 컸지만, 중·노년층에서는 저체중이 더 큰 위험요인으로 평가됐다.

주목할 부분은 심부전 위험이 가장 낮은 BMI 구간이 청년층에서는 정상체중이었지만, 중년층과 노년층에서는 정상체중 또는 비만 전 단계일 때로 각각 확인된 부분이다.

"심혈관질환, 젊을 땐 비만·노년 땐 저체중이 더 위험"
김형관 교수는 "연령대를 좀 더 세분화해 보면 20대에서는 비만일 때만 심혈관질환 위험이 커졌지만, 70대 이상의 노인에게서는 비만보다 저체중의 사망 위험 증가가 뚜렷했다"고 설명했다.

이현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볼 때 젊은층은 평소 비만해지지 않도록 노력하고, 노인층은 근감소증으로 인한 저체중이 되지 않도록 적절한 운동과 식습관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