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과 예술이 무르익는 곳
좋은 술을 만나면 좋은 사람들이 생각난다. 아름다운 작품을 보면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될 것 같다. 울산에서 그랬다. 자동차와 제조업의 도시로 알려진 울산은 더 이상 굴뚝과 공장의 도시가 아니다. 문화와 예술과 자연이 살아 숨쉬는 곳이다. 여름의 끝자락, 단 한 곳의 여행지를 골라야 한다면 누구나 떠나는 흔한 장소가 아니라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몰랐던 도시의 매력을 발견하는 건 어떨까.

팡팡 터지는 천연탄산은 발효건축이 만드는 것

복순도가 막걸리
복순도가 막걸리
초록의 대지를 한바탕 휩쓸고 가는 바람, 하늘은 대지에 닿을 듯 가깝고 농부가 구슬땀 흘려 가꾼 논에 윤기가 흘러 밥 한술 뜨지 않아도 배가 부르다. 농촌에서 나고 자라지 않았어도 이 풍경을 보면 누구나 마음에 평온이 들어찬다. 이곳으로 기꺼이 걸음하게 한 복순도가를 그 풍경 끝에서 만난다.

막걸리 하면 옛것, 어른들이 좋아하는 술로 치부되던 때가 있었다. 울산 울주군에 자리한 복순도가는 가히 그 인식을 바꾼 대표적인 양조장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술 빚는 공간을 넘어 농업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미학적인 건축물, 천연 탄산이 마치 샴페인처럼 터지는 뜻밖의 우리 술로 복순도가는 도시와 세대를 연결하고 있다.
술과 예술이 무르익는 곳
건축을 전공한 김민규 대표가 직접 세운 도가는 기다란 장방형 구조에 먹색에 가까운 외벽이 인상적이다. 빛에 따라 오묘하게 색이 달라지는 이 먹색은 볏짚을 태운 재에서 왔다. 농경사회에서 풍년을 기원하며 볏짚을 태우던 의식을 건물에 담은 것이다. 검은 벽을 훑으면 그 안에 까슬까슬한 촉감의 새끼줄이 매립된 것도 발견할 수 있다.

발효건축의 개념을 지닌 도가는 하나의 유기물로 자연과 시간 속에 변화하고 무르익는다. 그 속에서는 쌀, 물, 누룩이 유기물에 순응하며 익어가는 소리가 톡톡 들려온다. 처마 끝에 매달린 빗방울이 흙바닥에 떨어지는 소리 같고, 코끝에 닿는 술 냄새는 저절로 취하고 싶게 한다. 복순도가의 모든 제품은 전통 옹기에서 오랜 발효 시간을 거친다. 대표적 제품인 ‘복순도가 손막걸리’의 터질 듯한 천연 탄산은 이 시간 덕분에 만들어진다. 도가 옆에는 방문객들을 위한 ‘주막’이 마련돼 있다. 시그니처인 복순도가 손막걸리, 홍국쌀로 빚어 색이 어여쁜 빨간쌀 막걸리, 탄산 없이 걸쭉한 맛의 탁주, 한국의 포트와인으로 불리는 과하주까지 취향껏 시음하고,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도 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복순도가 맛있게 먹는 법

“탄산이 강한 복순도가 손막걸리를 열 때는 말이야. 굳이 흔들지 않아도 돼.” 처음 맛보는 친구 앞에서 폼을 잡아주고, 뚜껑을 조금씩 돌렸다, 닫았다를 3~4번 반복해줍니다. 첫 번째 과정에서 가라앉은 침전물이 빠르게 섞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을 향해 개봉하면 의가 상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청와대 만찬 건배주로 올랐던 복순도가

2012년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에 이어 2013년 청와대 재외공관장 만찬 공식 건배주로, 2015년 밀라노 세계박람회 한국관 개관 건배주로 소개된 복순도가 손막걸리.

빛은 언제든지 있어. 꿈꾸게 하는 울산의 예술

술과 예술이 무르익는 곳
술과 예술이 무르익는 곳
1960년대 울산은 공업센터로 지정되며 산업도시로 급성장했다. 특히 중구 지역은 행정, 교통, 숙박, 유흥의 중심지로 낮이든 밤이든 수많은 사람으로 활기에 넘쳤다. 달이 차면 기울어야 한다. 원도심은 이제 진한 화장을 지우고 본연의 깊이에 파고든 듯하다. 지난해 12월 중구, 울산동헌 지근거리에 울산시립미술관이 개관했다. 미디어아트 전용관 ‘XR랩(eXtended Reality Lab)’에서는 지역에 기반을 둔 미술관이 무엇을 말하고, 추구해야 하는지 명확히 드러난다. XR랩 두 번째 전시인 ‘정연두: 오감도(烏瞰圖)’전은 1년간의 작업을 거쳐 울산의 산업, 자연, 생태를 담았다. 도심의 희로애락 같은 장면들이 VR AR MR(가상·증강·혼합현실) 등 최신 디지털 기술로 혼합돼 사면을 감싸고, 관람객들은 풍경에 압도되는 생생한 경험을 한다.
울산시립미술관
오감도 전시
울산시립미술관 오감도 전시
영상은 울산의 도심과 들녘을 가로지르는 까마귀 떼의 군무, 산업현장으로 출근하는 오토바이들의 행렬, 죽음의 강에서 국가정원으로 승격된 울산 태화강을 비추며, 다시금 불 꺼진 시장 골목에서 노래하는 가수 안코드를 찾아간다. 맨발에 기타를 멘 그가 노래한다. “빛은 언제든지, 어디나 있어”라고. 여기까지 오는 동안 삶에서 놓쳐버린 수많은 부제를 떠올리며 울산에 스며들었다.

정상미 한국경제매거진 여행팀 기자/사진=이효태 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