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의 의미 담은 '인생의 시' 101편
‘섬진강 시인’ 김용택(74·사진)은 전북 임실 진매마을에서 태어나 스물한 살에 초등학교 교사가 됐다. 2008년 정년 퇴임할 때까지 섬진강변에 살며 자연과 동심을 노래했다. 흐르는 강물은 시인에게 세월의 의미를 고민하게 했다. “어느 날 강을 건너다 뒤돌아보았더니 내 나이 서른이었고, 앉았다가 일어나 보니 마흔이었고, 감았던 눈을 보니, 나의 인생은 또 어느 시간을 지나고 있었다.” 길어서 지루하든 짧아서 아쉽든 인생의 순간은 흘러가게 마련이고, 그 모든 순간이 모여 삶은 한 편의 시처럼 완성된다.

김용택이 인생의 순간을 담은 시를 모아 <인생은 짧고 월요일은 길지만 행복은 충분해>를 최근 출간했다. 0세부터 100세까지 각 나이에 어울리는 시를 발췌하고 짧은 글을 덧붙였다. 자신의 시 외에도 박목월, 윤동주, 신달자, 라이너 마리아 릴케 등 국내외 주요 시인의 시를 실었다.

세월의 의미 담은 '인생의 시' 101편
수록된 시는 각 나이의 독자에게 맞춤형 공감과 위로, 조언을 건넨다. 사춘기 13세에게는 “방안에 온통 네 생각만 떠다녀/생각을 내보내려고 창문을 열었어/그런데 창문 밖에 있던 네 생각들이/오히려 밀고 들어오는 거야”하고 고백하는 윤보영의 ‘어쩌면 좋지’를 들려준다. ‘불혹’을 한 해 앞둔 39세 독자를 위해서는 “사십이 되면/더 이상 투덜대지 않겠다/이제 세상 엉망인 이유에/내 책임도 있으니”라는 구절이 담긴 전윤호의 서늘한 시 ‘서른 아홉’을 적었다.

60세 독자에게는 “사랑이, 인생이 별것인가요?”라고 얘기하는 자신의 시 ‘인생’을 소개한다. 옆에는 이런 짧은 글을 실었다. “오늘부터 무직이 되었다. 환갑에 무직, 정말 좋은 말이다. 뭐든 내 맘대로 하자. 혼자도 좋다. 혼자 잘 놀자. 아주 심심하게 놀자. 싫은 일은 하지 말자. 이것이 내가 무직이 된 퇴직 첫날 아침 첫째 다짐이다.”

“삶이 쌓이면 저절로 시가 되어 나온다, 즉 인생은 시다.” 김용택 시인은 “시인이 생각하는 인생이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이런 답을 해왔다. 그는 책머리 글을 통해 독자들에게 묻는다. “당신의 인생은, 지금 어느 시간을 지나고 있나요.”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