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원두 관세를 내렸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인하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페 업주를 비롯한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선 원두값 상승폭이 커 세금 인하 효과가 거의 없다고 설명한다. 게다가 실제 커피값에선 원두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데다 다른 인상 요인이 많아 가격 인하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1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원두 수입가격은 1㎏당 7221원으로 5월(7284원)~6월(7249원)보다 소폭 내렸다. 농식품부는 “수입 원가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된 조치들의 효과가 8월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7월20일부터 수입 때 관세를 낮춰주는 할당 관세가 적용된 만큼 8월에는 생두 수입가격이 더 내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앞서 농식품부는 6월 커피 생두에 부가가치세를 면제한 데 이어 지난달 20일부터 커피 원두에 할당 관세 0%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원두 가격이 뛰자 '생활필수품'으로 꼽히는 커피 가격 추가 상승을 막기 위해 세금 혜택을 준 것이다. 당시 할당 관세 조치를 발표하면서 정부는 38억7000만원의 지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일각에서 “최근 원두 관세 인하분을 충실히 반영한 유통업체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일부 국내 원두 공급업체들은 이달부터 원두 가격을 ㎏당 1000~6000원가량 올렸다. 원두 관세를 인하분이 반영됐다면 원두 공급가가 내려야 하지만 되레 인상된 셈이다. 대중적인 품질의 원두가 1㎏에 2만3000원 정도에 공급되던 점을 감안하면 최대 26% 이상 가격이 인상된 것이다. 이에 대해 공급업체들은 유통 구조상 어쩔 수 없다는 입장
올해 해외 명품 브랜드의 가격 인상 행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백화점에서 명품 매출은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꾸준한 매출 성장은 이른바 '3대 명품'으로 불리는 프랑스 샤넬이 국내에서 올해 들어 세 번째로 가격을 올리는 등 '배짱 장사'를 할 수 있는 유인으로 작용하고 있다.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에서 지난 2분기 명품이 속한 해외 패션 매출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두자릿수를 기록하며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롯데백화점에서 올해 2분기 명품을 비롯한 해외 패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7.9%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후 나타난 보복 소비로 명품 매출이 33.1% 증가한 지난해 2분기보다 추가로 성장한 것. 또한 이는 같은 기간 기존점포 매출 증가율(13.6%)을 여전히 웃도는 수준이다.명품에 강점을 보유한 '세계 1위' 백화점 신세계 강남점을 운영하는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해외 매출 증가율이 20%를 넘었다. 신세계백화점의 2분기 해외패션 매출 증가율은 22.2%로 집계됐다. 명품과 함께 남녀 패션 매출이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를 누리면서 신세계는 올해 2분기 증권가 예상치를 큰 폭으로 웃돈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업계에선 백화점 명품 매출 증가율이 30~40%대에 달한 지난해 2분기보다 오름폭은 둔화됐지만 여전히 두자릿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지난해와 올해 추가적인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은 것.거리두기 해제와 해외여행 재개에도 불구하고 1300원을 뚫은 원·달러 환율 등의 요인이 작용하면서 국내 백화점 명품 매출이 여전히 우상향 추세를
김정현 홍익대 교수, 보고서 곧 제출…"본관·관저·영빈관 등 원형 유지" '주요 시설 미술품 전시장 활용' 문체부 구상과 큰 차이 주목 청와대 본관과 관저를 비롯한 핵심 건물은 '역사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그 외 부속 건물은 '시민공간'으로 활용하자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한국 근현대사에서 청와대가 차지하는 역사성은 지키면서도 활용 방안을 고려한 일종의 '절충안'이다. 하지만 미술전시장을 비롯한 복합문화단지로 조성하겠다는 문화체육관광부 구상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주목된다. 10일 학계에 따르면 김정현 홍익대 건축학부 교수는 이런 내용을 담은 '역사문화공간으로서의 청와대 마스터 플랜(master plan) 기본 구상' 보고서를 연구를 의뢰한 문화재청에 이달 말 제출할 예정이다. 김 교수는 보고서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건물 위주로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흔히 역사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건물을 보면 청와대 본관, 대통령 관저, 영빈관, 춘추관, 여기에 상춘대까지 5곳 정도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들 건물은 기본적으로 원형 유지를 원칙으로 하고 그 외 여민관 등 부속 건물을 잘 활용해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만드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며 "필요한 경우 청와대 권역 좌우 끝에 있는 영빈관, 춘추관도 시민공간으로 활용해도 괜찮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앞서 문체부는 지난달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청와대 주요 시설을 미술품 전시장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본관과 관저는 미술품 상설 전시장으로 운영하고 영빈관도 미술품 특별 기획전시장으로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춘추관은 시민소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