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국내 미술품 거래시장은 폭풍전야다.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프리즈 아트페어(프리즈)의 개막이 보름여 앞으로 다가오면서다. ‘단군 이래 최대 미술축제’로 불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미국 가고시안 등 국내 아트페어에 한 번도 나온 적 없는 최정상급 화랑들이 세계 미술시장을 선도하는 신작을 선보일 예정이다. 컬렉터들은 “이번에 좋은 작품을 건지려면 ‘실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며 거래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러 악재와 맞닥뜨린 서울옥션과 케이옥션이 이달 하순 경매를 앞두고 표정이 밝지 않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고가 작품으로 ‘맞불’ 전략 구사서울옥션은 오는 23일 ‘제168회 미술품 경매’에 102점을, 케이옥션은 이튿날 ‘8월 경매’에 101점을 내놓는다. 국내 미술품 거래시장을 양분하는 두 회사 모두 지난해 8월에 비해 경매 규모를 줄였다. 경매 전 발표하는 추정가 총액이 서울옥션은 1년 전 173억원에서 125억원으로, 케이옥션은 97억원에서 61억원으로 감소했다. 미술계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호황을 구가하던 두 회사가 출품작 규모를 전년 대비 30% 정도나 줄인 것은 KIAF-프리즈를 의식했다고 밖에 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경매회사들은 KIAF-프리즈가 위협적인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뚜껑을 열어보면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며 기대하는 눈치다. 경매회사 관계자는 “작년보다 규모는 줄였지만 KIAF-프리즈 출품작들에 지지 않을 작품을 골라 내놨다”고 말했다. 케이옥션에서는 유영국의 ‘Work’(1989)가 추정가 3억2000만~5억원에 새 주인을 찾는다. 소박하지만 나무와 산 등 유영국
외신과 각종 미술 자료를 보다 보면 작품 사진 출처에 ‘ADAGP’라는 문구가 붙어 있을 때가 많다. ADAGP는 ‘글로벌 저작권자 연합회’의 영문 약자로,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둔 세계 최대 저작권 관리협회 중 하나다. 살바도르 달리와 앤디 워홀을 비롯해 14만 명에 달하는 작가가 여기 등록돼 있다. 하지만 살아생전에 가입하기가 쉽지 않다. 회원을 받을 때 ‘급’을 까다롭게 따지기 때문이다. ADAGP에 정식으로 가입된 국내 화가는 100여 명이 채 안 된다.이달 16일부터 31일까지 서울 광희동 갤러리라온에서 열리는 ‘AIAM & ADAGP글로벌연합회원전’이 미술계의 이목을 끄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 전시에서는 ADAGP 정식 회원으로 등록된 한국과 프랑스 작가의 작품 총 25점을 소개한다. 전시에 작품을 내놓은 국내 작가는 모두 프랑스의 권위있는 문화예술 단체 앙드레말로협회(AIAM) 회원이기도 하다.국내에선 강명자 손홍숙 채영주 등 주로 유럽 미술시장에서 활동해온 작가들이 그림을 선보인다. 프랑스에서는 크리스토프 보댕과 프랑씬 알라리 등 현지 비평가들에게 호평받는 중견 작가들의 작품을 보내왔다. 한국화가 이한우 화백(1927~2021)의 작품 4점도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이 화백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ADAGP에 정식 가입한 화가다.성수영 기자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추석을 앞두고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외계층 가정에 5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와 함께 교회는 최근 폭우로 수해 피해를 본 모든 가정에 긴급재난지원금도 내놓기로 했다. 이영훈 담임목사는 이날 교회 주일예배 시간에 "수재로 피해를 입은 분들을 교구별로 긴급히 조사해 두 주 안에 피해 입은 모든 분들에게 재난지원금을 드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별도로 추석을 맞아 제2차 영세소상인 및 어려움을 당하는 분들을 위해 50억 원을 풀어 섬기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소외계층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 속하는 영세소상공인, 독거노인, 취약계층, 생활이 어려운 장애인, 한부모 가정이고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 가정 및 대학생 등이다. 이 교회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꿈을 포기하지 않도록 교회 내 청장년국의 추천을 받아 대학 재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코로나 피해 소상공인과 소외계층 가정에 총 106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