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계 온라인 미술시장이 1년 전보다 71%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된 작품의 평균가격은 세 배 오른 2만4921달러(약 3000만원)였고, 구매자의 89%(중복 응답)는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을 보고 구매를 결정했다. ‘인스타그램에서 본 3000만원짜리 작품’을 그 자리에서 바로 구매한다는 얘기다.
영국 특수보험업체 히스콕스가 최근 발표한 ‘온라인 미술거래 보고서 2021’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온라인 미술시장 거래액은 135억달러(약 17조2084억원)로 전년보다 71% 증가했다. 거래량은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에 비해 72% 늘었다. 구매자의 46%는 태블릿PC나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활용했다. ‘온라인 고객들은 초고화질 웹으로 360도 영상 화면을 보여줘야 구매할 것’이란 미술업계의 예측이 빗나간 셈이다.
온라인 미술품 거래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연간 40억달러(약 5조원)에 머물렀다. 진품 여부를 가리기 어려운 데다 고가 미술품은 직접 본 다음 구매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분위기를 코로나19가 바꿨다. 미술관이나 아트페어, 경매장에 갈 수 없게 된 컬렉터들은 ‘손안의 미술관’을 찾았다.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SNS는 인스타그램(89%)이 압도적 1위였다. 페이스북은 68%, 트위터는 22%, 유튜브는 26%였다.
구매 목록도 달라졌다. 온라인 아트 플랫폼에서 구매하는 품목은 가구(22%), 주얼리·시계(22%), 공예품(14%) 등이 전통 회화(27%)와 비슷한 비중으로 팔렸다. 회화 비중이 66%에 이르는 온라인 경매와는 다른 모습이다.
온라인 미술 거래가 대중화하면서 업계도 바빠졌다. 10년 전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미국 미술품 거래 플랫폼 아트시(Artsy)의 지난해 판매액은 2019년 대비 270% 증가했다. 최근 자체 온라인 아트페어 인터섹트21을 새로 출범하기도 했다. 온라인 경매 플랫폼 ATG는 런던증권거래소에 6억파운드(약 9450억원) 가치를 인정받아 상장했고, 최근 경쟁사인 라이브옥셔니어와 합병했다.
전통적인 박물관과 미술관, 경매사들도 온라인을 강화하고 있다.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은 E-부티크를 열었고, 영국 빅토리아&알버트뮤지엄은 디지털 플랫폼을 신설했다. 로버트 리드 히스콕스 아트 부문 대표는 “보수적이던 명품시장이 온라인으로 옮겨간 것과 같은 수순을 밟고 있다”고 밝혔다.
히스콕스는 세계 최대 미술품 특수운송 보험회사다. 지난해 4000여 개의 갤러리와 600여 명의 컬렉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뒤 보고서를 작성했다.
올해 한국 미술시장의 성장세는 눈부시다. 역대급 호황에 힘입어 경매 낙찰총액은 사상 처음으로 3000억원을 넘어섰다. 2030을 중심으로 수요층의 저변이 넓어지면서 양과 질 모두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세계 시장과 비교하면 한국 시장의 눈부신 성적표는 빛이 바랜다. 시장 규모와 작품 가격 모두 서구는 물론 중국과 일본에도 크게 뒤지는 게 현실이다. 아시아 미술 시장의 중심이 되기에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게 전문가들의 냉정한 평가다. 뜨거운 관심에 유동성·新투자기법까지29일 예술경영지원센터 케이아트마켓의 추산에 따르면 올해 갤러리, 경매회사 등을 포함한 미술품 거래 총액은 약 9223억원. 지난해(3291억원)는 물론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4146억원)의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성장세다.이 같은 급성장 배경에는 전 국민의 시선을 미술로 쏠리게 한 사건들이 있다. 지난 1월 타계한 ‘물방울 화가’ 김창열(1929~2021)의 작품들이 나온 경매가 대성황을 이룬 게 시작이었다. 이후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 유족들이 국보급 미술품·문화재 2만3000여 점을 국가에 기증하면서 관심에 불이 붙었다. 전국 각지의 ‘이건희 컬렉션’ 관련 전시들은 관람객으로 발 디딜 틈 없이 북적였다.코로나19 이후 풍부해진 시중 유동성이 미술시장으로 몰린 것도 호재였다. 부동산은 너무 비싸 투자할 수 없고, 암호화폐나 증시는 변동성이 부담스러운 2030세대가 대거 미술 투자에 나섰다. 지난 10월 열린 한국국제아트페어(KIAF)의 경우 아트페어를 처음 방문한 관람객 중 60%가 2030세대였다. 하나의 작품에 여럿이 쪼개서 투자하는 공동구매와 대체불가능토큰(NFT) 등 새로운 투자 방식의 등장도 한몫했다. 서울옥션블루에 따르면 지난해 변변한 통계조차 없었던 미술품 공동구매 시장은 올해 501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이 회사가 운영하는 공동구매 플랫폼 SOTWO(쏘투) 이용자 중 3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37.5%에 달했다.세계도 한국 시장의 성장세에 주목했다. 독일의 쾨닉과 오스트리아의 타데우스 로팍은 각각 서울 청담동과 한남동에 새 둥지를 틀었다. 독일의 페레스 프로젝트와 미국의 글래드스톤, 투팜스 역시 내년 서울에 분점을 낼 계획이다. 내년 세계적인 아트페어 ‘프리즈’의 한국 진출이 예정돼 있고, 1월에 양대 경매사 중 하나인 케이옥션이 코스닥에 상장하면서 국내 시장의 열기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세계 시장에 비하면 ‘조족지혈’하지만 한국이 아시아 미술시장의 중심을 자처하기엔 아직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많다. 세계 3대 미술 경매회사인 크리스티와 소더비, 필립스의 올해 경매 규모는 18조4000억원에 달한다. 한국 경매시장의 60배가 넘는다. 지난 10여 년간 세계 미술시장이 63.0% 성장할 때 국내 미술시장은 1.6% 성장했다는 최근 통계(전국경제인연합회)도 있다.한국 작가의 작품값도 답보 상태다. 올해 거래된 세계 최고가 미술 작품은 크리스티에서 낙찰된 파블로 피카소의 1932년작 ‘창가에 앉아 있는 여인’으로, 1억340만달러(약 1228억원)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 작가 작품 최고가는 2019년 김환기의 ‘우주(Universe 5-IV-71 #200)’가 기록한 132억원에 머물고 있다. 300억원대 기록을 보유한 중국의 우관중과 일본의 요시토모 나라 등에 비하면 턱없이 아쉬운 수준이다.올해 국내 경매 실적만 봐도 국내 작가의 저평가가 눈에 띈다. 올해 국내 경매 낙찰가 1위는 지난 11월 서울옥션 경매에서 낙찰된 구사마 야요이의 50호 크기 그림 ‘호박’(54억5000만원)이었다. 한국 작가 중 최고가인 김환기의 붉은 색 점화 ‘1-Ⅶ-71 #207’은 40억원으로 3위에 그쳤다. 전체 낙찰가 상위 10개 작품 중에서도 절반 이상이 구사마의 작품이었다.미술시장 도약을 위해서는 미술관과 박물관의 작품 구입 예산을 대폭 늘려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손이천 케이옥션 이사는 “경매 현장에서 봤을 때 가장 중요한 건 국민의 관심”이라며 “미술관 등 인프라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확충해야 시장이 더욱 클 수 있다”고 강조했다.정준모 미술평론가는 “국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기초체력은 부족한 수준”이라며 “경매시장만 급성장하는 가운데 일반 화랑들이 이를 받쳐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작품의 거래 이력 등을 정리해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화랑들이 스스로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추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미술품의 국내외 거래를 허용하고 제값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일본처럼 중요 문화재를 제외한 고미술품은 해외에 반출할 수 있도록 해 세계에서 한국 예술의 아름다움을 인정받자는 것이다.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지난 17일 막을 내린 국내 최대 미술장터 한국국제아트페어(KIAF)가 역대 최고 매출과 최다 방문객 기록을 세웠다.한국화랑협회는 13일부터 닷새 동안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KIAF 서울 2021’의 판매액을 약 650억원으로 추산했다. 종전 기록인 2019년의 310억원보다 두 배 넘게 많았다. 방문객은 2019년보다 7% 이상 늘어난 약 8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다 기록이다. 지난해 KIAF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만 진행됐다.올해는 VVIP 관람일인 첫날에만 350억원의 매출을 올릴 정도로 행사장이 북적였다. 방탄소년단(BTS) 멤버 뷔와 RM을 비롯해 전지현, 이병헌·이민정 부부, 소지섭, 노홍철, 황신혜, 소유진, 성유리, 한지혜 씨 등 연예인도 대거 현장을 찾았다.세계 10개국 170개 화랑이 설치한 부스에는 작품이 팔렸음을 알리는 빨간딱지가 줄줄이 붙었다. 갤러리들은 판매된 작품을 새로운 작품으로 교체하기 바빴다. 화랑협회는 내년부터 세계 3대 아트페어로 꼽히는 영국 프리즈와 함께 코엑스 전관에서 KIAF를 공동 개최할 예정이어서 올해 행사 흥행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온라인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8일부터 열흘 동안 온라인 뷰잉룸 접속자는 8만3000여 명, 페이지 클릭 수는 68만 건에 달했다. 지난해에는 한 달 동안 3만7000여 명이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했고, 클릭 수는 74만 건이었다.국내 미술시장은 최근 활황세다.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미술품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미술품이 ‘보상 소비’의 대상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산과 주식시장에 이어 미술시장으로 흘러들고 있고, 특히 젊은 층이 새로운 구매자로 떠오르고 있다는 설명이다.한국화랑협회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미술 애호가들의 갈망이 컸고, 작품으로 힐링하려는 방문객이 줄을 이었다”며 “MZ세대 컬렉터들의 미술품 투자, 해외 갤러리 대표들의 방문을 통해 서울이 아시아 미술시장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미술품 구매는 전통적 투자 방식 중 하나다. 미술품 거래 규모는 날이 갈수록 커지더니 최근에는 이른바 MZ세대라 불리는 20~30대 젊은 층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런 고전적인 미술품 재테크가 최근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바로 암호화폐 기술과 결합한 디지털 예술 ‘NFT 아트’의 등장이다. 투자자들은 이 낯선 유형의 예술 작품에 열띤 관심을 보이며 호기심 어린 눈으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그런데 NFT 아트가 대체 뭐기에 이리 화제일까.NFT는 ‘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약자다. 대체 불가능하다는 말은 세상에 유일무이하다는 뜻인것 같다. 그럼 토큰은 무엇인가? 여기부터 암호화폐의 기술적 설명이 등장한다. 토큰은 ‘코인’과 엄밀히 다른 개념이긴 하지만, 암호화폐라는 대분류에 속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비슷하다.널리 알려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예로 들어 생각해보자. 내가 가진 비트코인 1개와 친구가 가진 비트코인 1개는 가치가 같고 상호 교환도 가능하다. 하지만 NFT는 각각의 가치도 다르고, 서로 교환할 수도 없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 비트코인과 유사하지만, 별도의 고유한 인식값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복잡하고 어렵다. 무한 ‘복붙’이 가능한 사이버 세계에서 ‘원본’이라 할 수 있는 소유권에 대한 유일무이한 디지털 증명서 구실을 하는 암호화폐라고 생각하면 된다.이러한 NFT의 기술은 다방면에 적용돼 디지털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데, 특히 ‘아트’라는 콘텐츠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다가오고 있다. 아티스트들은 자신의 작품에 NFT 기술을 적용해 플랫폼에서 쉽게 기회를 얻고, 구매자들은 온라인 쇼핑을 하듯 플랫폼에서 예술품을 구매하고 거래하게 된다. 미술관에 가야만 만날 수 있었던 미술품을 웹에서 거래하고 소유하게 된다니 여태껏 상상도 못한 일이다. 디지털 아트+암호화폐 NFT 기술=유일무이한 정품NFT에는 음악, 그림, 영상 등의 콘텐츠를 입힐 수 있다. 정확히는 실제 작품이 덧입혀진 것이 아니라 작품명, 작가명, 작품 및 계약의 세부 내용, 이미지 저장 위치URL 등 작품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저장될 뿐이다. 이렇게 NFT에 입힌 콘텐츠가 ‘작품’이라고 할 만한 예술적 가치가 있다면 그때 NFT는 ‘아트’로 격상된다. 내가 NFT 미술 작품을 하나 구매했다면 NFT에 입힌 디지털 미술 작품의 소유권을 유일하게 얻었다고 말할 수 있다. 아무리 그 작품이 인터넷 세상에서 복사되어온 지구로 퍼져나가도 그림의 원본 파일이 나만의 것이라는 사실은 블록체인 기술이 증명해줄 수 있다. 한 마디로 NFT 아트는 ‘디지털 아트+암호화폐 NFT 기술=유일무이한 정품임을 인증받은 디지털 아트 영수증’인 셈이다.하지만 NFT 아트가 주목받은 진짜 이유는 이런 기술적 독창성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지난 3월 세계적 미술품 경매 회사 크리스티에서는 300Mb의 이미지 파일 하나가 무려 6,930만 달러에 낙찰됐다. 디지털 아티스트 비플(본명 마이크 윈켈만)이 NFT로 만든 ‘매일: 첫 5,000일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이라는 작품이다. 제프 쿤스와 데이비드 호크니에 이어 생존하는 예술가의 작품 중 세 번째로 높은 가격에 팔린 것이라고 한다. 한화로는 약 785억원이다.그뿐 아니다. 트위터 최고경영자 잭 도시의 첫 트윗 NFT가 약 33억원에 팔리고, 테슬라 최고경영자의 연인으로 알려진 가수 그라임스의 NFT 미술 ‘워 님프War Nymph’도 경매 개시 20분만에 약 65억원에 낙찰됐다. 엄청난 인기다. 높아지는 관심, 해결해야 할 문제NFT 아트에 대한 열풍은 비단 외국의 현상만은 아니다. 국내에서도 최근 NFT 아트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며 거래 플랫폼이 속속 등장해 NFT 작품에 대한 경매와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구매 방법도 기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새로워졌다. 플랫폼에서 작품을 고른 뒤 전자지갑을 이용해 지불할 수 있고, 자신이 만든 디지털 작품을 NFT로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 빠른 사람들은 이미 세계 최대 NFT 플랫폼이라는 ‘오픈시OpenSea’, ‘슈퍼레어SuperRare’, ‘니프티 게이트웨이Nifty Gateway’ 등 해외 유명 NFT 거래소에서 작품을 구매하기 시작했다. 국내 기업의 행보도 금세 이어졌다.지난 3월 말에는 삼성전자의 해외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Samsung NEXT가 미국의 NFT 거래 플랫폼 업체 ‘슈퍼레어’에서 모집한 900만 달러약 102억원 규모의 시리즈A 펀딩에 투자자로 참여해 화제를 모았다. 곧이어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코빗Korbit’이 NFT 아트 마켓을 열었고, 전통적 방식의 미술품 경매 회사 서울옥션도 자회사 ‘서울옥션블루’를 통해 NFT 콘텐츠 시장에 진출할 계획을 밝혔다. 앞으로 더 많은 플랫폼이 나타날 것이고, 플랫폼들은 더욱 다양하고 색다른 방법으로 디지털 아트를 경험하도록 준비하고 있다. 이렇듯 NFT 아트는 암호화폐 시장과 미술품 거래 시장이 만나는 교집합으로서 시장 선점을 위한 치열한 주도권의 안마당이 되었다.다만 높아지는 관심에 따라 주의할 점도 있다. 예를 들어 ‘이중섭·김환기·박수근의 NFT 작품 경매 취소’에 대한 일이다. 경매 소식이 알려지자 원화의 진위와 동시에 저작권 침해라는 문제가 떠올랐다. 아직 저작권 보호 기간이 종료되지 않은 박수근·김환기 작품의 경우 저작권자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작품의 NFT화가 진행됐다는 점이다. 결국 주최 측은 경매를 취소했다. 이렇듯 아직 저작권에 대한 문제는 조심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NFT 아트, 그 무궁무진한 가능성투자자들이 말하는 NFT 아트의 최고 매력은 ‘원본성’ 이라고 한다. 원본성에 대한 이런 강렬한 열망은 뱅크시의 작품 ‘멍청이들Morons’을 1억원에 구매한 후 NFT로 전환하고, 곧이어 원화를 불태운 미국 블록체인 기업 ‘인젝티브 프로토콜Injective Protocol’의 퍼포먼스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났다.실물이 존재하는 한 가상의 가치는 실물의 그것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원화를 물리적으로 없애 실물의 가치를 온전히 가상의 NFT로 옮기겠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의식이었다. 퍼포먼스 이후 ‘멍청이들’ NFT의 가격은 4억3,000만원까지 치솟았다. 낙찰가로만 따지자면 그토록 열망하던 원본성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은 셈이다. 다만 저작권자 뱅크시의 허락도 없이 민팅Minting(화폐 발행)한 NFT라는점에서 불씨는 남아 있다.이처럼 NFT 아트는 국내외를 불문하고 법리적·제도적 발전 단계에 있다. 뒤집어 생각하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해나갈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지닌 투자처라는 뜻이다. 점차 더욱 많은 사람이 디지털 아이템을 소비하는 시대다. 위·변조가 불가능한 디지털 아트의 공급과 수요가 올바르게 정립된다면 더 많은 사람에게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글. 백세희(변호사, 디케이엘파트너스 법률사무소, <선녀와 인어공주가 변호사를 만난다면> 저자)출처. 미래에셋증권 매거진(바로가기_click)박혜원 기자 phw062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