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수아 제라르의 ‘에로스와 프시케’(1798). 프랑스 파리 루브르 미술관이 소장 중이다.
프랑수아 제라르의 ‘에로스와 프시케’(1798). 프랑스 파리 루브르 미술관이 소장 중이다.
영국 정신분석학자 니컬라 에이벌 허슈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이며 근원적인 영역인 사랑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다. “에로스는 인간이라는 존재가 가진 여러 가지 요소를 신체적으로는 성을 통해, 정서적으로는 사랑을 통해, 정신적으로는 상상을 통해 한데 묶는 힘을 의미한다.”

에로스가 인간의 신체와 정신, 감정을 결합하는 가장 강력한 힘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최초의 사례는 신화나 전설에서 찾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고대 로마 소설가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가 서기 170년께 쓴 소설 《황금 당나귀(원제 변형담)》에 나오는 큐피드(에로스)와 프시케의 사랑 이야기가 꼽힌다.

줄거리를 요약하면 이렇다. 사랑의 신 큐피드와 인간 세상의 아름다운 공주 프시케는 금기를 깨고 운명적인 사랑에 빠지지만 혹독한 사랑의 대가를 치르게 된다. 프시케는 큐피드의 신뢰를 잃고 헤어지는 위기를 겪지만 두 연인은 고난과 시련을 이겨내는 통과의례를 거쳐 사랑을 되찾고 부부의 연을 맺어 행복한 결말을 맞는다.

역경을 이겨내고 이뤄낸 지고지순한 사랑, 미성숙한 사랑에서 성숙한 사랑으로 거듭나는 성장 스토리, 욕망, 질투, 갈등, 배신, 애착, 용서, 소유 등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원형이 살아 있는 큐피드와 프시케의 사랑 이야기는 인류의 영원한 주제인 에로스를 탐구하는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줬다.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의 대표작 
‘큐피드와 프시케’(1793)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의 대표작 ‘큐피드와 프시케’(1793)
많은 예술가가 큐피드와 프시케의 신화에 도전했지만 그중에서도 프랑스 화가 프랑수아 제라르(1770~1837)가 27세인 1798년 살롱전에 선보인 ‘에로스와 프시케’가 가장 유명하다. 오늘날 이 작품은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 이탈리아가 낳은 가장 위대한 조각가인 안토니오 카노바의 대표작 ‘큐피드와 프시케’(1793)와 함께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라르는 아풀레이우스의 소설 속 큐피드와 프시케의 사랑 이야기에서 가장 감동적인 부분에 해당되는 장면을 이 그림에 담았다. 즉 큐피드가 죽음처럼 깊은 잠에 빠져든 프시케를 부활의 키스로 깨어나게 하는 극적인 순간을 포착했다. 금발의 미녀가 꽃들이 핀 바위에 앉아 있다. 이 여인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그의 미모를 질투해 아들인 큐피드의 능력을 빌려 저주를 내렸을 만큼 아름다운 인간인 프시케 공주다. 프시케를 다정하게 안고 입을 맞추는 날개 달린 청년은 사랑의 신 큐피드다.

그림을 자세히 살피면 특이한 점을 발견하게 된다. 프시케는 하체를 감싼 투명한 베일 이외에는 아무 것도 걸치지 않은 누드 상태다. 프시케에게 키스하는 큐피드도 나체다. 프시케의 눈부신 미모, 도자기처럼 매끈한 피부, 아름다움의 상징인 ‘황금비율’의 완벽한 몸매, 벌거벗은 젖가슴 아래 수줍은 듯 두 손을 모은 자세는 남성의 성적 욕망을 자극할 만큼 관능적이다.

그러나 연인에게 키스하는 큐피드의 모습에서 성적 흥분이나 남성적 공격성은 찾아볼 수 없다. 큐피드는 새의 깃털처럼 부드럽고 공기처럼 가벼운 손끝으로 연인의 몸을 애무한다. 큐피드의 키스를 받는 프시케의 표정에서도 감정의 동요는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그는 큐피드의 모습이 눈에 보이지도, 그가 자신의 몸을 만지는 것도 의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열정적 사랑에 빠진 두 연인이 성애적 열망을 극복하고 평온한 마음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림 속 큐피드와 프시케는 인간의 몸을 빌려 구현된 사랑(큐피드)과 영혼(프시케)을 상징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프시케는 고대 그리스어로 마음(또는 영혼, 정신)과 나비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두 연인의 머리 위로 노랑나비 한 마리가 날아다닌다. 이 나비는 영혼의 부활을 의미한다. 나비는 죽음을 연상시키는 번데기 시기를 거쳐 아름다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기 때문에 영원의 부활을 상징하게 됐다.

이런 정보를 바탕으로 그림을 감상하면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보인다. 자, 큐피드의 오른쪽 손가락 끝과 프시케의 오른쪽 귀 사이를 주목해보라. 두 연인의 신체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있다. 언뜻 큐피드가 프시케의 몸을 애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두 연인 사이에 신체적 접촉이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제라르는 고대 신화에 담긴 사랑의 본질과 의미를 의인화된 남녀 이미지를 빌려 미술로 표현했다.

닿을듯 말듯한 에로스와 프시케…'사랑의 본질'을 묻다
그리스 조각처럼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두 남녀의 완벽한 신체, 질서와 엄숙함, 고요한 분위기의 고전적 구성, 사실적 형식미가 황홀한 조화를 이루는 이 작품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사랑은 완전한 육체와 아름다운 영혼의 결합이며 인간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몸의 쾌락만이 아니라 육체와 정신을 잇는 사랑이라는 것을.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