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반 에이크,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1434년, 영국 런던 내셔널갤러리 소장
얀 반 에이크,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1434년, 영국 런던 내셔널갤러리 소장
소설가 올더스 헉슬리는 “상징이 없는 인간은 동물과 마찬가지다”라고 했다. 인류의 역사는 상징의 역사라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상징은 많은 문화권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사용됐다. 특히 미술에서 상징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술 작품에 나타난 상징의 의미를 해독하면 작가의 의도나 주제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북부 르네상스 거장으로 평가받는 플랑드르의 화가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 1390(?)~1441년)는 시각적 암호인 상징을 활용해 걸작을 남겼다. 영국 런던 내셔널갤러리의 인기 소장품인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1434년)는 서양미술사에서 가장 독창적이고 신비로운 명화 중 하나로 꼽히며 일명 ‘수수께끼 그림’으로도 불린다. 그만큼 그림 속에 복합적 의미를 지닌 다양한 상징물이 등장한다. 어떤 상징이 숨겨져 있을까? 작품을 감상하면서 상징의 비밀을 풀어보자.

그림에 등장한 두 남녀는 플랑드르 브루게에 살던 이탈리아 루카 출신 상인 조반니 아르놀피니와 그의 아내다. 이 초상화는 독일 출신 미술사학자 에르빈 파노프스키를 비롯한 많은 학자의 연구에 의해 결혼을 기념하는 최초의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사진기가 발명되기 이전에 결혼식 장면을 담은 기념 초상화이자 혼인 관계를 인정받는 결혼증명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학자들은 추론의 근거로 초상화에 등장한 다양한 상징물을 제시했다.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의 거울 속 인물들.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의 거울 속 인물들.
예를 들면 부부가 손을 잡은 동작은 결혼을 통한 두 남녀의 화합, 아르놀피니가 오른손을 세운 자세는 혼인 서약, 둘 다 신발을 벗은 행위는 결혼의 신성함, 부부 발끝 사이의 작은 개는 충실함과 헌신을 상징한다. 침구의 붉은색은 부부간의 열정, 볼록거울 옆에 매달린 플랑드르 전통의 구슬 묵주는 근면과 겸손, 청동 샹들리에에서 타오르는 촛불 한 개는 부부의 일심동체를 의미하는 동시에 모든 것을 지켜보는 신의 눈을 상징한다.

다산을 기원하고 가정주부의 덕목과 가치관을 나타내는 상징물도 다수 등장한다. 침대 뒤편의 가구 맨 위쪽에 출산의 수호성인 성 마가렛의 목각 조각상이 놓였고, 그 옆에 주부의 역할을 강조하는 청소용 솔이 걸려 있다. 여성의 녹색 의상은 굵은 주름을 풍성하게 넣어 배 부분을 볼록하게 강조해 마치 임신한 것처럼 보이지만 르네상스 시대 플랑드르 지역에서 유행한 패션이었다. 이런 의상은 자녀에 대한 열망의 상징이자 예의범절의 표시이기도 하다.

이 초상화가 결혼증명서 용도로 주문 제작됐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정적 증거물도 있다. 벽 한가운데 그리스도의 수난 장면을 묘사한 10개의 작은 그림으로 장식된 원형 볼록거울이 걸려 있다. 거울 표면에 실내 정경과 부부의 뒷모습, 방문 앞에 서 있는 파란색 옷과 빨간색 옷을 입은 두 남자의 모습이 비친다. 둘 중 파란색 옷을 입은 남자는 얀 반 에이크로 추정된다. 볼록거울 위 벽에 라틴어로 ‘얀 반 에이크가 여기 있었다. 1434년’이라는 화가의 서명과 날짜가 적혀 있기 때문이다. 즉 화가와 정체를 알 수 없는 남자는 결혼식을 참관하고 서약한 증인이라는 뜻이다.

이 초상화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예술가가 결혼식을 직접 목격하고 증인을 섰으며 기념화를 그렸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징물을 통해 아르놀피니 부부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도 알려줬다. 고급스러운 원단으로 만든 모직 옷과 값비싼 모피로 장식한 망토 및 가운, 부부가 착용한 반지와 황금 목걸이는 부의 상징으로 왕족과 귀족, 부유한 상인들만 소유할 수 있었다. 벽돌로 지은 주택에 놓인 고급 가구와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로 장식된 창문, 바닥에 깔린 동양에서 수입한 양탄자, 탁자에 놓인 수입 오렌지, 값비싼 침구류도 그들의 재력을 나타낸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아르놀피니 가문은 고급 직물 무역으로 부를 축적한 재력가로, 15세기 중요한 무역 도시인 브루게에 거주한 외국 상인 가운데서 매우 부유한 층에 속했다고 한다.

웨딩사진 이전에 이 그림이 있었다…최초의 결혼기념 초상화
그림 속 다양한 상징물은 아르놀피니 부부가 이 초상화를 의뢰한 목적도 알려줬다. 결혼을 기념하는 초상화이자 직물 거래로 큰돈을 번 자신들의 부와 지위를 과시하고 싶은 욕망이 이 그림을 주문한 숨은 의도였다. 끝으로 이 초상화가 불멸의 명화로 꼽히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얀 반 에이크는 ‘유화의 아버지’ ‘화가들의 제왕’으로 불릴 만큼 새로운 매체인 유화를 발전시킨 업적을 남긴 최초의 화가 중 한 명이다. 르네상스 시대 브루게에 정착한 부유한 상인 계급의 일상을 완벽한 유화 기법으로 사실적이고 정밀하게 묘사했기 때문에 기록적 가치도 높다. 이런 요소들이 결합돼 걸작의 반열에 오른 것이다.

이명옥 사비나미술관 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