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6%를 기록해 9년 만에 최고치였던 지난 5월과 같은 수준을 기록한 것은 정부의 물가 전망을 벗어나는 것이다. 3분기부터 물가가 안정세로 접어들 것이라는 설명과 달리 다시 오름세가 나타나고 있어서다.

소비자물가 고공행진…"일시적 현상"이라던 정부 예상 빗나갔다
통계청이 3일 내놓은 ‘2021년 7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개월 연속 2%대 상승했다. 4월 2.3%를 시작으로 5월 2.6%, 6월 2.4%, 7월 2.6% 등 고공행진 중이다. 4개월 연속 2%대 상승은 2017년 1∼5월 5개월 연속 2%대 상승 이후 4년여 만에 처음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2%는 정부의 물가안정 목표치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축산물이 9.6% 올랐고 공업제품(2.8%), 서비스(1.7%) 등도 상승했다. 공업제품 중에선 휘발유(19.3%)와 경유(21.9%)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공동주택관리비(6.2%)와 전세(2.0%) 등 주택 관련 가격의 오름폭도 두드러졌다.

올해 1~7월 누적 물가 상승률은 1.9%로, 정부의 연간 전망치 1.8%를 넘어섰다. 정부는 2분기 고물가가 지속될 당시 수차례 “3분기부터는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는 설명을 내놓았지만 지난달에도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정부 예상을 벗어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정부는 최근의 2%대 물가 상승률은 ‘일시적 현상’이라는 점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 통계청은 7월 폭염 등 날씨요인이 일시적으로 물가상승률을 높였다고 진단했다.

최근 물가상승률이 2%대로 높지만 체감 물가에 비해선 상승률 수준이 낮은 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는 국민들이 물가 오름폭을 주로 느끼는 농축수산물 품목의 가격 상승이 전체 물가 상승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전기·수도·가스, 서비스 등 네 가지 분야로 나눠 가격 변동을 물가지수에 반영하고 있는데 농축산물의 가중치는 77.1로 서비스(551.5)와 공업제품(333.1)에 비해 낮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1.7%였고,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2% 상승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추석 기간에 물가가 안정되도록 소고기는 1.6배, 돼지고기는 1.25배 더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는 또 “9월까지 계란을 2억 개 더 수입하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국내 공급가를 낮추는 등의 대책을 통해 현재 7000원대인 계란 한 판 값을 6000원대로 낮출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강진규/김소현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