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간밤에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 열대야가 나타났다.기상청은 낮 동안 축적된 열기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밤에도 따뜻한 공기가 계속 유입돼 서울 등 대도시와 해안지역 등 밤사이 최저기온이 25도 이상 유지되는 열대야가 발생했다고 밝혔다.열대야를 기록한 지점의 밤 최저기온은 △서울 26.6도 △인천 27.2도 △수원 25.9도 △청주 25.6도 △목포 25.3도 △여수 25.4도 △광양시 25.0도, 포항 25.9도 △양산 25.8도 △부산 25.2도 △울산 25.0도 △제주 26.4도 △서귀포 26.2도 등이다.절기상 가장 덥다는 대서인 22일에도 내륙을 중심으로 무더위가 이어지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21~16도, 낮 최고기온은 28~37도로 예상된다.기상청 관계자는 "무더위가 장기간 이어짐에 따라 폭염 영향예보와 기상정보를 참고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절기상 1년 중 가장 더운 대서(大暑)이자 목요일인 22일 폭염이 이어지겠다.기상청은 이날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당분간 무더위가 지속, 폭염특보가 확대되거나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서쪽 내륙 일부 지역에서는 낮 최고기온이 38도 이상 오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낮 최고기온은 28∼36도의 분포를 나타내겠다. 이미 아침부터 전국이 25도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이날 오전 5시 현재 전국 주요 지역의 기온은 서울 27.0도, 인천 27.5도, 수원 27.1도, 춘천 24.1도, 강릉 22.7도, 청주 25.7도, 대전 25.1도, 전주 24.0도, 광주 24.5도, 제주 26.6도, 대구 24.7도, 부산 25.3도, 울산 25.2도, 창원 24.5도 등이다.대도시와 해안 지역은 밤사이 기온이 25도 이상 유지되면서 곳에 따라 열대야가 나타나겠다. 전국이 대체로 맑지만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 지역은 구름이 많겠으며, 오후부터 저녁 사이 강원 영서 중·북부에는 5∼20㎜의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0.5∼1m, 서해 앞바다에서 0.5∼2m, 남해 앞바다에서 0.5∼2.5m로 일겠다. 먼바다의 파고는 동해 0.5∼1.5m, 서해 0.5∼4m, 남해 1∼4m로 예상된다.풍랑특보가 발효된 제주도 전해상과 서해 남부 남쪽 먼바다, 남해 서부 먼바다는 25일까지 초속 10∼16m의 강풍과 높은 물결이 예상된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절기상 1년 중 가장 덥다는 대서(大暑)이자 목요일인 22일은 전국이 맑은 가운데 무더위가 이어지겠다.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 지역은 구름이 많겠으며, 오후부터 저녁 사이 강원 영서 중·북부에는 5∼20㎜의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이날 오전 5시 현재 전국 주요 지역의 기온은 서울 27.0도, 인천 27.5도, 수원 27.1도, 춘천 24.1도, 강릉 22.7도, 청주 25.7도, 대전 25.1도, 전주 24.0도, 광주 24.5도, 제주 26.6도, 대구 24.7도, 부산 25.3도, 울산 25.2도, 창원 24.5도 등이다.낮 최고기온은 28∼36도의 분포를 나타내겠다.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됐고 당분간 대체로 맑은 날씨가 이어지면서 한낮 기온이 35도 안팎으로 오르는 무더위가 지속되겠다.이번 주에는 서쪽 내륙 일부 지역에서는 낮 최고기온이 38도를 웃도는 곳도 있겠다.대도시와 해안 지역은 곳에 따라 열대야가 나타나겠다.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이 '좋음'∼'보통' 수준으로 예상된다.서해 도서지역과 강원 영서에는 가시거리 1㎞ 미만의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다.제주도는 평균 풍속 초속 8∼13m의 강한 바람이 부는 곳이 있겠으니 안전사고 예방에 유의해야겠다.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0.5∼1m, 서해 앞바다에서 0.5∼2m, 남해 앞바다에서 0.5∼2.5m로 일겠다.먼바다의 파고는 동해 0.5∼1.5m, 서해 0.5∼4m, 남해 1∼4m로 예상된다.풍랑특보가 발효된 제주도 전해상과 서해 남부 남쪽 먼바다, 남해 서부 먼바다는 25일까지 초속 10∼16m의 강풍과 높은 물결이 예상된다.제주도와 서해안, 남해안에는 너울에 의한 높은 물결이 백사장으로 강하게 밀려오거나 해안도로, 갯바위,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겠다.또 천문조에 의해 바닷물의 높이가 높은 기간이므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기사는 엔씨소프트의 인공지능 기술인 자연어처리기술(NLP)과의 협업을 통해 제작되었습니다.인공지능이 쓴 초고와 기상청 데이터 등을 토대로 취재 기자가 최종 기사를 완성했으며 데스킹을 거쳤습니다.기사의 원 데이터인 기상청 기상예보는 웹사이트(https://www.weather.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