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1부대 생존자 손전본. 한족 중국인.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
731부대 생존자 손전본. 한족 중국인.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
사진가 전재홍이 국내외에 아직 생존해 있는 일제 만행의 피해자들을 찾아가 담은 사진전 '제국의 휴먼'이 26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토포하우스에서 개막했다. 전씨가 2000년대 초반부터 한국,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일제에 의해 강제노역이나 강제이주를 당한 사람들, 일분군위안부 할머니, 신사참배 거부로 단종 당한 한센인, 세균전 피해자 등을 촬영한 흑백사진 45점이 6월1일까지 전시된다. 이후 6월 3일부터 16일까지 충남 대전 갤러리 탄에서 전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1990년대부터 일제의 한반도 수탈 시설물들을 촬영한 '제국의 평야' 및 '제국의 바벨탑' 연작과 '제국의 휴먼'을 함께 엮은 사진집 '리틀보이'도 출간했다.
강제 이주와 세균전 이중 피해자 김옥자. 조선족 중국인. 중국 길림성.
강제 이주와 세균전 이중 피해자 김옥자. 조선족 중국인. 중국 길림성.
전씨의 작품들은 인물들을 일제 만행의 흔적이나 그들의 현재 삶의 터전을 배경으로 촬영해 잊혀져가고 있는 일제 잔혹사를 생생하게 현재진행형으로 되살려 냈다. 인물들을 역사의 상흔을 간직한 장소 또는 그들의 피폐한 삶을 보여주는 배경과 함께 담아낸 사진들은 관람자들에게 '고요한 충격'을 안겨준다.

전씨는 "일제가 남기고 간 건축물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신사참배를 거부한 이유로 단종된 피해자를 만난 것을 계기로 이 시리즈를 시작하게 됐다"며 "우리가 모르고 있거나 잊혀져가고 있는 일제의 잔혹한 행위를 그냥 묻어둘 수 없었다"고 말했다.
신사참배 거부죄로 단종된 장기진. 전남 소록도.
신사참배 거부죄로 단종된 장기진. 전남 소록도.
전시기획자 원춘호씨는 "전씨는 개인이 하기에 벅찬 일을 사비를 들여 해왔다"며 "그의 작업은 일제의 흔적을 사진으로 정리한 해방 후 가장 의미 있는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전씨는 1990년대부터 일제가 한반도 수탈 과정에 사용됐던 건축물과 시설을 촬영한 '제국의 평야'와 일제가 원활한 물자수송을 위해 전국 기차역에 세운 철도급수탑을 기록한 '제국의 바벨탑' 등의 연작을 발표해 왔다.

신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