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생각하라 ( Think again)
이달 美 출간직후 CEO 사이서 화제
"확증편향·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세상
'잘못을 깨닫는 능력'도 지능의 일부
오만에 빠지면 최악의 리더로 전락"
이달 美 출간직후 CEO 사이서 화제
"확증편향·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세상
'잘못을 깨닫는 능력'도 지능의 일부
오만에 빠지면 최악의 리더로 전락"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스스로를 무너뜨리는 '확신의 함정'](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5407182.1.jpg)
《다시 생각하라》는 전작 《기브 앤 테이크》 《오리지널스》보다는 제목이 다소 밋밋하지만 내용은 그렇지 않다. 이 책은 확신과 신념의 함정을 소개한다. “확신이 서면 의심하라”면서 지나친 확신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려준다. 의심과 질문을 허락하지 않는 확신은 자신을 바보로 만들 뿐 아니라 타인을 공격하는 무기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세계는 이미 확신의 위험성에 노출돼 있으며 그 폐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확증편향이 여론의 양극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에 부합하는 정보에만 주목하고 그 외의 정보는 무시한다. 의심의 불편함을 싫어하고 확신의 위안을 선호한다. 상대방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그가 자신을 공격하고 있다고 여긴다. 자신의 결론에 동의할 만한 사람들만 가까이한다. 의견 충돌이나 갈등이 발화하는 불꽃을 통해 생각의 사각지대를 발견할 기회를 놓쳐버린다.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스스로를 무너뜨리는 '확신의 함정'](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5412634.1.jpg)
“‘창업자 증후군’을 버려야 한다”고도 말한다. “의외로 많은 창업자가 자신의 경험을 일반화하며 생각의 터널 속에 갇혀 버리거나, 오만과 나르시시즘에 빠진 최악의 리더로 전락하고 만다”고 설명한다. 그 사례로 블랙베리를 들었다. 2009년 블랙베리의 미국 내 휴대폰 시장 점유율은 50%에 달했다. 하지만 불과 5년 뒤에는 1% 미만으로 떨어졌다. 블랙베리 창업자인 마이크 라자리디스는 블랙베리의 정체성을 ‘이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휴대용 장치’라고 확신했다. 사람들이 컴퓨터와 같은 장치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굳게 믿었다. 창업자의 이런 확고한 신념이 블랙베리의 혁신을 가로막았다.
저자는 “우리의 내면에는 설교자, 검사, 정치인, 과학자 등 네 가지 직업이 있다”고 말한다. 설교자는 신성한 믿음을 전파하고 싶어 한다. 검사는 상대방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해야만 한다. 정치인은 사람들의 호감을 얻기 위해 온갖 캠페인을 벌인다. 마음속의 이 세 가지 직업은 늘 확신에 가득 차 있다. 그 때문에 확증편향으로 몰릴 위험이 있다.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스스로를 무너뜨리는 '확신의 함정'](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3547848.1.jpg)
홍순철 < BC에이전시 대표, 북칼럼니스트 >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