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경제적 어려움 등 애로를 겪는 사람이 늘었다. 이 때문에 코로나 블루도 깊어지고 있다.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불안과 분노의 감정이 깊어져 우울감으로까지 발전하는 것이다.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감염재난 시기에 생기는 건강에 대한 위협, 일상의 중단 등은 현실적 고통으로 우리가 직면하는 첫 번째 화살”이라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극복해야 하지만 쉽지 않다”고 했다. 그는 “자연스레 우리 마음 한쪽에 불안, 분노, 우울감이 유발되는데 이를 코로나 블루라고 부른다”고 했다.

○잠 못 자면 병원 찾아야

코로나 블루는 공식 진단명이 아니다.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의 합성어다. 불안한 감정이 생겼다고 모두 질환이라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감염병에 대한 불안은 누구나 호소한다. 불안한 감정은 감염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불안 때문에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손을 잘 씻고 마스크를 쓰는 등 방역수칙을 잘 지키게 되기 때문이다.

지난달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KSTSS)가 국민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평소보다 우리 국민들의 우울과 불안이 증가했다. 하지만 80% 정도는 정상 수준이었다. 나머지 10~20%는 임상적 관심이 필요한 수준의 불안 감정을 호소했다.

이런 사람은 도움이 필요하다. 다만 이들 중에도 대부분은 정확한 정보만 전달해도 불안 감정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 우울증, 불안 증세가 심하거나 너무 큰 고통 때문에 잠을 못 잔다면 의료기관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백 교수는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자가격리자와 확진자”라고 했다. 코로나19 때문에 가족을 잃은 유가족은 장례조차 제대로 치를 수 없는 상황이다. 이들의 심적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크다. 국가트라우마센터 전화 상담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된다.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위기상담전화(1577-0199)를 이용하는 것도 도움된다.

○일상생활 중단 때문에 어려움 호소

코로나19 유행으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일상생활의 중단’이다. 꾸준히 하던 취미활동, 운동, 모임 등이 한순간에 멈췄기 때문이다. 야외활동이 제한돼 집에만 머물면서 코로나19 관련 뉴스를 계속 보는 사람도 많다. 이는 심리방역에 가장 안 좋은 행동이다.

하루 종일 집에 앉아 뉴스만 찾아 보면 햇빛도 보지 못하고 운동량이 떨어진다.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심리적 힘은 건강한 몸에서 시작된다. 실내에만 머물더라도 창문을 열고 햇볕이 드는 곳에서 운동해야 한다.

다른 사람과 소통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백 교수는 “자신이 생각하기에 소중한 사람, 믿을 수 있는 사람과 전화나 SNS 등을 통해 어려움을 솔직히 털어놓고 함께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의료진, 방역요원에게 감사 편지를 쓰는 것도 도움된다. 사회적 신뢰를 높이는 것은 물론 자신의 심리적 면역력을 지키는 데 유용하다.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이타적인 행동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면역체계를 지켜 자신뿐 아니라 사회를 더욱 강하게 만들어준다.

누구나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갖고 있다. 이런 경험을 살려 스트레스를 이겨내야 한다. 마음건강 수칙이나 심리방역 수칙 등을 참고하는 것도 도움된다.

○예민한 아이에게 눈높이 설명 중요

학교에 가지 못하는 아이들도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아이들은 연령에 따라 상황을 이해하는 데 편차가 크다.

저학년일수록 등교가 연기돼 친구들을 만나지 못하는 상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상황에서 잘못된 정보를 접하면 오해가 커지고 스트레스가 심해질 수 있다.

고학년은 일상의 리듬이 깨지면서 다양한 어려움을 호소하기 쉽다. 하루 계획을 세우고 실천 여부에 따라 보상을 주는 등 가족끼리 새로운 일상을 계획하고 함께 만들며 극복해나가는 것이 좋다. 부모님과 함께 있는 시간이 늘어 예민해지는 아이들도 있다. 부모가 아이의 눈높이로 상황에 대해 반복해서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자가격리자에게도 응원을

자가격리자들이 힘들어하는 것은 고립이다. 방안에서 2주 동안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하루 종일 뉴스 등에 귀를 기울이게 되고 누워 있는 시간이 늘면 생활 리듬과 일상이 깨진다. 일의 공백이 생기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도 많다.

자가격리자의 마음건강을 위해서는 주변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자가격리자는 불안장애나 불면증이 증가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도 있다. 하지만 이타적 경험을 한 사람은 자가격리 기간 후유증 없이 이겨냈다. 자가격리자가 자신뿐 아니라 우리 사회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 희생하고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응원해주는 것은 이들이 힘든 시간을 이겨내는 데 도움된다.

의료진도 마찬가지다. 의료인에게 가장 힘든 순간은 환자를 잃는 트라우마다. 어떻게든 살리고자 했지만 실패했을 때 스트레스가 누적돼 나쁜 영향을 준다. 코로나19 유행이 길어지면서 누구나 예민해질 수 있다. 의료진도 예외는 아니다. 백 교수는 “의료진도 사람이기 때문에 스스로 마음 건강상태를 관심 있게 살펴봐야 한다”며 “이럴 때일수록 서로에게 믿음을 갖고 더욱 살펴야 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