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2곳 등 32개국 177개 화랑 참여…"홍콩 亞 미술시장 중추 역할 계속"한국 화랑 첫날 판매 호조…"4년 전과는 다른 분위기" 평가도 아시아 최대 아트페어(미술장터)인 '아트 바젤 홍콩'이 21일 VIP 사전 관람(프리뷰)을 시작으로 홍콩 컨벤션센터에서 개막했다. 올해 아트바젤 홍콩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여파에서 벗어나 2019년 이후 4년 만에 다시 본격적으로 관객들을 맞았다. 2013년 시작된 아트바젤 홍콩은 매년 8만여명이 찾고 1조원 규모의 미술품이 거래되는 행사지만 2020년에는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됐고, 2021년에는 오프라인 관객을 맞았지만 규모가 대폭 축소됐다. 지난해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며 5월로 한 차례 연기된 데다 홍콩 입국 때 격리 의무에 따라 갤러리 인력이 입국하지 못하고 작품만 홍콩으로 보내 현지 인력이 '위성 부스'를 운영하는 등 파행을 겪었다. 올해는 32개국에서 177개 갤러리가 참여해 지난해 130곳보다 규모가 커졌다. 참가 화랑 중 3분의 2정도가 아시아 갤러리로, 한국에서는 12곳이 참가했다. 메인 섹션인 '갤러리즈'(Galleries)에는 학고재, 국제갤러리, 리안갤러리, 조현화랑, 원앤제이갤러리, PKM 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갤러리바톤이 참가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작가를 소개하는 '인사이츠'(Insights) 섹션에는 우손갤러리가 안창홍 작가를 선보였고, 신진 작가들이 이번 행사를 위해 제작한 작품을 소개하는 '디스커버리스'(Discoveries) 섹션에는 갤러리2와 휘슬, 제이슨함이 참여했다. 작가 개인전 형식으로 마련하는 '카비네트'(Kabinett) 섹션에는 아라리오갤러리가 1세대 여성실험미술가인 김순기 작가를, 학
놀이기구 철거 후 어린이 생태예술 정원 조성 광주 중외공원 놀이시설이 3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광주시와 광주시립미술관은 오는 4월까지 중외공원 놀이기구 10개를 모두 철거한다고 21일 밝혔다. 중외공원 놀이시설은 1981년 개장 당시 호남 유일의 놀이공원으로 '어린이대공원'으로 불리며 도심 속 나들이 장소로 사랑받았다. 벚꽃 명소로도 유명해 매년 4월이면 하늘자전거 등 놀이기구를 타거나 꽃놀이를 즐기려는 시민들로 붐볐다. 광주시는 이 부지에 어린이를 위한 아시아 생태예술 놀이 정원을 조성하고자 지난해 7월부터 놀이기구 운영을 마감하고 철거를 시작했다. 총사업비 190억원을 투입해 2024년까지 중외공원 일대를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아시아 예술정원 조성사업' 가운데 하나다. 김준기 광주시립미술관장은 "시민 여러분의 공원 이용에 불편을 드려 양해를 부탁드린다"며 "중외공원 일대가 문화도시 광주에 걸맞은 문화예술 중심지이자 관광자원으로 재탄생하는 것을 기대해 달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19:30 아르떼 라이브!한경아르떼 더클래식 2023 세 번째, 서진과 이정란한경아르떼필하모닉과 함께하는 ‘한경아르떼 더 클래식 2023’ 세 번째 시리즈로, 지휘자 서진과 첼리스트 이정란이 연주한다. 슈만의 첼로 협주곡과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제8번 연주를 한경아르떼TV에서 실시간 생중계한다.백세영 한경아르떼TV P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