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공식 출범한 디즈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의 아시아 진출이 가시화됨에 따라 국내 업체들도 대응책 마련에 분주해졌다. 디즈니코리아 관계자는 이날 “일본에는 내년 상반기, 한국에는 2년 뒤에 디즈니플러스 서비스를 선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한 tvN 드라마 ‘호텔 델루나’.  /스튜디오드래곤 제공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한 tvN 드라마 ‘호텔 델루나’. /스튜디오드래곤 제공
디즈니는 아시아 시장 공략을 위해 각국 통신사, 제작사 등과 손잡고 현지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오리지널 콘텐츠도 자체 제작할 방침이다. 내년 상반기 진출할 예정인 일본에서는 NTT도코모와 계약을 맺었다. NTT도코모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는 일본에서 최초로 디즈니 콘텐츠를 제공하게 됐다”고 밝혔다.

국내 통신사 중에서는 SK텔레콤과 KT가 디즈니와 함께 아시아 시장을 공략할 파트너가 되기 위해 제휴를 적극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은 자체 OTT ‘옥수수’를 운영해 왔으며, 지난 9월엔 ‘옥수수’와 지상파 3사의 OTT ‘푹’을 합친 ‘웨이브’를 선보였다. 디즈니와 제휴를 맺으면 통신사 플랫폼에 디즈니플러스가 들어오는 ‘플랫폼 내 플랫폼(PIP)’ 방식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LG유플러스가 넷플릭스 플랫폼을 IPTV 플랫폼에 편입한 것과 같은 방식이다.

스튜디오드래곤 등 국내 제작사들도 디즈니의 콘텐츠 제작 파트너가 되기 위해 물밑 접촉을 하고 있다. 한 제작사 관계자는 “디즈니와의 제휴가 성사되면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 시장을 함께 공략하는 것은 물론 디즈니플러스에 콘텐츠를 공급해 미국과 유럽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OTT업체들은 넷플릭스에 이은 디즈니플러스의 진출로 국내 시장을 글로벌 업체들에 내주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2016년 넷플릭스 진출 이후 국내 OTT시장은 빠르게 성장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OTT시장 규모는 2015년 2587억원에서 지난해 5300억원으로 커졌다. 앱(응용프로그램) 분석 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넷플릭스의 국내 유료 이용자는 200만 명에 달했다. 지난해 2월 40만 명에서 다섯 배 증가했다. 지난달 넷플릭스에서 결제한 금액은 260억원에 이르렀다.

토종 OTT업체들은 합종연횡과 기업공개(IPO) 등을 통해 몸집을 키워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웨이브’ 출범에 이어 CJ ENM과 JTBC도 통합 OTT 플랫폼을 선보인다. 두 회사는 내년 초까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CJ ENM이 운영 중인 ‘티빙’을 기반으로 한 새 OTT 플랫폼을 출범시키기로 했다. 통합 플랫폼엔 국내 양대 제작사인 스튜디오드래곤과 제이콘텐트리의 오리지널 콘텐츠가 공급될 전망이다.

국내 OTT ‘왓챠플레이’를 운영하는 왓챠는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왓챠는 디즈니를 포함해 HBO, BBC 등 할리우드 상위 6대 메이저 배급사와 계약을 체결해 콘텐츠를 공급하고 있다. 국내에선 CJ ENM 등 60여 개 공급사와 계약을 맺었다. 해외 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왓챠 관계자는 “지난해 8월 영미권에서 ‘왓챠 글로벌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올해 안으로 일본에서 왓챠플레이 서비스를 시작한다”며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은 해외 시장을 확대하는 데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