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검은 짐승은 거두는 게 아니라더니….”화가는 나지막이 중얼거렸습니다. 10년 전 조수로 채용했던 앳된 얼굴의 소년. 처음 봤을 때부터 소년의 그림 실력은 이미 웬만한 중견 화가를 압도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소년을 만나자마자 화가는 직감했더랍니다. ‘이 녀석은 천재다.’ 화가에겐 소년의 실력이 필요했습니다. 그보다도, 이 천재를 곁에 두고 직접 키우고 싶다는 욕심이 들었습니다.그렇게 조수가 된 소년. 그림 기술에서부터 고객을 대하는 매너, 교양까지 화가의 모든 걸 스펀지처럼 흡수했습니다. 덕분에 조수는 그림 기술로만 따지면 화가와 비슷한 경지에 올랐습니다. 자신의 자리를 위협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화가는 조수가 기특하기만 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내 최고의 제자는 이 녀석’이라고 말하기도 했지요.하지만 조수는 선을 넘었습니다. ‘화가가 해외 출장으로 바쁜 사이, 조수가 화가의 아내를 노리고 있다.’ 어느 날 이런 소문이 화가의 귀에 들어온 겁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며칠 전 조수가 아내를 바라보던 눈빛. 말로는 다 표현할 수 없는 그 끈적한 시선을 화가는 보고 말았습니다.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할 시간입니다. 화가는 조수를 불러 이렇게 말합니다. “너, 유학 좀 갔다 와야겠다.” 오늘 ‘그때 그 사람들’에서는 17세기의 두 거장, 피터르 파울 루벤스(1577∼1640)와 안토니 반 다이크(1599~1641)의 미묘한 관계를 다룹니다. 두 천재의 만남유럽의 주요 미술관치고 루벤스 그림이 한 점도 없는 곳은 찾기 어렵습니다. 그만큼 루벤스는 많은 그림을 남겼습니다. 생전 그가 남긴 유화는 30
<그동안 홈트레이닝으로 득근 많이 하셨나요? 이제 집을 나와 헬스장으로 왔습니다. 혼자 어떻게 운동해야 할지 고민이시거나, 운동 기구 사용법을 몰라 걱정이신 분들을 위해 호흡법, 주의사항과 함께 꼼꼼한 운동 루틴을 준비했습니다. 이제 황선주 강사님과 함께 헬스장에서 '득근'하세요.>이번 주 '황선주의 득근득근'에서는 '헬스장 엉덩이 기구 사용법'을 준비했습니다. 하루 10분 투자해 운동하고 건강도 지키세요. 지금부터 시작합니다.① 힙 어브덕션│3세트, 15회발판에 다리를 올리고 엉덩이를 기구 끝까지 붙이지 않고 살짝 앞으로 나와 앉는다.양손으로 기구를 붙잡고 날숨에 다리를 벌렸다가 들숨에 천천히 돌아온다.엉덩이 바깥쪽 자극을 신경 쓰면서, 발끝이 아닌 무릎을 벌린다는 느낌으로 진행한다.② 싱글 레그 프레스 │ 3세트, R/L 10회몸을 왼쪽으로 틀고, 오른발을 발판에 10시 방향으로 두고 왼발은 들어준다.손잡이를 잡고 지탱한 다리를 이용해 머신을 위로 밀어 올려준다.상체는 앞으로 살짝 기울인 상태에서 들숨에 내려갔다가 날숨에 올라온다.반대쪽 진행할 때는 왼발을 2시 방향으로 둔다.‘주말의 홈트’ 영상은 한경닷컴 홈페이지, 유튜브, 네이버TV에서 볼 수 있다.의상협찬=안다르유채영 한경닷컴 기자 ycycy@hankyung.com
1946년 국내 첫 공립 박물관으로 개관…인천뮤지엄파크로 재도약 [※편집자 주 = 인천은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국내에서 신문물을 처음 맞이하는 관문 도시 역할을 했습니다. 인천에서 시작된 '한국 최초'의 유산만 보더라도 철도·등대·서양식 호텔·공립 도서관·고속도로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연합뉴스 인천취재본부는 이처럼 인천의 역사와 정체성이 서린 박물관·전시관을 생생하고 다양하게 소개하려 합니다. 모두 30편으로 구성된 이번 시리즈 기사는 매주 토요일 1편씩 송고됩니다. ] 국내 최초의 공립 박물관인 인천시립박물관이 문을 연 것은 광복 이듬해인 1946년 4월이었다. 인천 앞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중구 자유공원 인근에 자리잡은 박물관 건물은 개항기 독일 무역상사 '세창양행'이 썼던 사택을 리모델링해 활용했다. 인천은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외국의 새로운 문명과 문물을 서울보다 앞서 접했던 일종의 관문이자 통로였다. 광복 이후 혼란스러운 사회 분위기 속에서 한국의 첫 공립 박물관이 인천에 개관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 격동기 인천시민과 애환 나눈 77년 역사 올해로 개관 77주년을 맞은 인천시립박물관의 역사는 세창양행 사택 시기(1946∼1950년)와 제물포구락부 시기(1953∼1989년), 그리고 현재의 옥련동 청사 시기(1990년 이후)로 구분할 수 있다. 초창기 시립박물관은 인천 향토관에 보관했던 선사시대 유물과 개화기 유물·사진,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대여해온 문화재급 작품 등 총 364점의 전시품으로 출발했다. 여기에는 본국으로 돌아가는 일본인들에게서 몰수해 세관 창고에 보관 중이던 유물들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