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이유 뭘까, 어떻게 읽을까… 독서 습관 갖게하는 책 쏟아진다
“오늘날은 글과 책이 예전의 그 특별한 품격이나 매력, 독특한 마력 등을 완전히 박탈당한 것처럼 보인다.”

100년 전 헤르만 헤세가 《독서의 기술》에서 쓴 문장이다. 성인 다섯 명 중 두 명은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다(2017년 국민독서실태조사 결과)는 요즘 한국처럼 당시 독일에서도 독서에 대한 회의를 둘러싸고 논란이 있었다. 지난해 일본에서는 아사히신문에 투고한 한 대학생의 ‘책을 안 읽으면 안 되나’란 글이 화제가 됐다. 그는 “책을 안 읽고도 사는 데 문제가 없었다”며 “독서도 악기나 스포츠 같은 취미의 일종 아닌가”라고 물었다. 세계적 추세인 독서율 감소에 답하듯 왜 독서를 해야 하고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지 ‘독서법’에 대한 책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죽을 때까지 책읽기》는 일본 최대 종합상사인 이토추상사 회장을 지내고 주중 일본대사로도 일한 니와 우이치로가 쓴 책이다. 올해 79세인 저자는 “책을 읽든 안 읽든 그건 너의 자유”라고 답한다. 다만 책을 읽지 않는 것은 스스로를 한정된 세계에 가둬놓는 것에 비유한다. 책을 읽고 머리로 생각하는 힘을 잃어가기 때문이다. 저자는 “독서는 저자와의 대화이므로 그것을 습관화하면 다양한 사람을 매일 만나는 셈”이라며 “책을 전혀 안 읽는 사람과는 엄청난 차이가 날 것”이라고 강조한다.

‘내 아이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유산, 책 읽기’라는 부제가 붙은 《마흔, 아이와 함께 하는 아빠의 책읽기》(김현민 지음)에서도 이에 못지않은 ‘책 사랑’을 느낄 수 있다. 평범한 직장인이지만 비범한 독서가인 저자는 매일 오후 9시를 ‘가족 독서 시간’으로 정했다. 처음에는 10분간 읽었지만 습관이 되면서 아이들의 책 읽는 시간은 자연스럽게 늘었다. 저자는 책에 ‘몰입’한다면 5분이든, 10분이든 시간은 중요하지 않다고 설명한다.

독서교육 전문가 최승필의 《공부머리 독서법》도 ‘독서는 습관’이라는 측면에서 맞닿아 있다. 공부처럼 독서도 “일단 재밌어야 하고 스스로 할 때 자기 것이 된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독서는 공부를 별로 안 하는 것 같은데 성적이 좋은 아이들, 소위 ’공부머리‘가 좋은 학생들의 비결이었다. 독서교육회사 한우리열린교육에서 일하고 있는 저자가 쓴 《나는 이기적으로 읽기로 했다》(박노성 지음)는 맞춤형 독서법으로 접근한다.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독서를 위해 포스트잇 독서법부터 비교독서와 파생독서, 속독과 훑어읽기 등 다양한 독서법을 소개한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