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남동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 뮤지컬 전용극장 블루스퀘어.
서울 한남동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 뮤지컬 전용극장 블루스퀘어.
국내 최대 규모 뮤지컬 전용극장인 블루스퀘어가 만성적 적자 요인인 서울시 토지사용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블루스퀘어 토지사용료(매년 공시지가의 2.5%)를 인하하는 방안을 담은 서울시 조례개정안 통과 여부가 다음달 중순께 시의회에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블루스퀘어는 주말 대관율이 100%에 이를 정도로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2011년 설립 이후 주변 상권의 급속한 발달로 땅값이 급등해 흑자를 내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설립 이후 지금까지 110억원의 누적 적자를 기록할 정도로 경영에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

◆7년간 땅값 133% 상승에 ‘휘청’

블루스퀘어, '눈덩이' 토지사용료에 뮤지컬 대중화 물건너가나
블루스퀘어가 자리잡은 땅은 옛 한남면허시험장이 있던 1만826㎡의 시유지다. 서울시가 이 땅을 활용하기 위해 ‘한남동 대중음악 및 뮤지컬 공연장 민자유치 사업’을 공모했고 2009년 인터파크씨어터가 사업 대상자로 선정됐다. 인터파크가 블루스퀘어를 설립해 서울시에 시설을 기부하고 20년간 운영하는 방식이다. 운영권을 갖는 대신 매년 토지사용료를 납부한다.

총 600억원이 투입된 블루스퀘어는 개관 이후 국내 뮤지컬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레미제라블’ ‘시카고’ ‘오페라의 유령’ 등을 현지 오리지널 제작 방식으로 들여와 국내 초연하며 화제를 일으켰다. 최근엔 북파크, NEMO 전시장, 한남아트갤러리 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문제는 이태원, 한남뉴타운 등이 인접한 주변 상권의 땅값이 크게 올랐다는 점이다. 블루스퀘어가 자리잡은 땅의 공시지가는 2011년 대비 133% 상승했다. ‘서울시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 조례’에 따라 매년 공시지가의 2.5%를 토지사용료로 납부해야 하는 블루스퀘어의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서울시의 관련 조례에 따르면 문화시설에 대해 영리법인은 2.5%, 비영리법인은 1.0%를 토지사용료로 납부해야 한다. 인터파크씨어터는 영리법인에 속해 2.5%를 내고 있다. 매년 10억~15억원에 달하는 돈을 8년 가까이 토지사용료로 냈다. 주 수익원인 대관료가 연간 50억원 정도인데 이 중 30%를 시에 납부해야 하는 구조다. 블루스퀘어 측은 “공연장의 가치가 상승할수록 토지사용료 부담이 증가하는 모순이 생기고 있다”며 “시민에게 문화 혜택을 제공한다는 본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커지자 김기만 서울시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월 ‘기부채납 대상 문화시설을 조성 운영하는 영리법인에 한해 대부료의 요율을 비영리법인으로 적용한다’는 내용의 일부 조례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다음달 조례개정안이 통과되면 인터파크씨어터는 비영리법인들과 마찬가지로 매년 공시지가의 1.0%를 토지사용료로 내게 된다.

◆“대관료, 티켓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토지사용료는 블루스퀘어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로 이전하는 LG아트센터도 비슷한 처지다. 2020년 10월 새롭게 문을 여는 LG아트센터는 블루스퀘어와 같은 방식으로 2021년부터 토지사용료를 내게 된다. 간접 영향을 받는 제작사 쪽도 지지 의견을 냈다. 한국뮤지컬협회는 “공연시설이 토지사용료 부담을 견디지 못하면 결국 티켓 가격이 오르게 되고 관객이 피해를 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반론도 나온다. 문화시설 외 기부채납 시설들과의 형평성 문제, 공시지가 상승 원인이 블루스퀘어의 흥행에만 있지 않다는 점 등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최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준비하고 의회에 제출한다는 입장이다. 박정추 서울시 문화시설총괄팀장은 “지금처럼 땅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면 공연장 운영이 어려울 수 있다”며 “앞으로의 추이와 재무적 현황, 시민의 적극적인 문화 향유를 위한 방향 등을 고려해 개정안 심의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