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악과 만난 발레, 색다른 춤판 펼친다
국악기인 해금 줄의 떨림을 현대무용의 몸짓으로 표현한다면 어떤 모습일까. 농악 연희단과 함께 무대에 선 발레리나는 어떤 춤을 출까. 언뜻 보면 서로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소재가 어우러진 독특한 무용 공연이 잇달아 무대에 오른다.

국립국악원은 국립현대무용단과 공동 제작한 ‘춤의 연대기’를 25~26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공연한다. 공연 제목은 과거가 누적돼 만든 몸짓으로 현재의 춤을 보여주겠다는 뜻. 안애순 국립현대무용단장이 전통무용 강강술래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강가앙수울래애’를, 박순호 안무가는 국악기 연주법을 현대무용 몸짓으로 풀어낸 ‘조절하다’를 선보인다.

‘강가앙수울래애’에는 오르골이 들려주는 현대음악을 배경으로 국립무용단 단원 20여명이 출연한다. 공연은 원래 강강술래에서 쓰이는 원의 형태를 해체하고 재해석해 보여준다. 무용수들이 뱅뱅 돌며 원점으로 회귀하는 패턴 대신 서로 원을 만들어 돌다가 나뉘고, 원의 안과 밖을 오가는 식이다. 안 감독은 “원 안팎을 드나드는 모습은 역사의 시간대를 가로지르는 운동을 암시한다”며 “전통과 현대가 만나 과거의 움직임을 지금 이 순간으로 끌어온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조절하다’는 현악기의 줄을 짚은 채 떨어 장식음을 내는 국악기 연주법 농현을 소재로 삼았다. 무용수 각자의 몸을 활로 설정해 소리와 몸짓의 조화를 표현한다. 가야금 연주자 박경소와 국립국악원 소속 아쟁, 거문고, 대금 연주자가 무용수들과 무대에 함께 선다. 2만~3만원. (02)3472-1420

서울발레씨어터(SBT)와 연희단 팔산대는 26~27일 서울 LG아트센터에서 ‘아리랑 별곡’과 ‘당산벌림’을 함께 공연한다. 농악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주년을 기념해 한국문화재재단이 주최하는 공연이다. 진옥섭 한국문화의집 예술감독이 총기획과 연출을 맡았다. ‘아리랑 별곡’에선 발레 무용수 12명이 정선아리랑을 주제로 한 창작곡에 맞춰 춤춘다. 제임스 전 SBT 예술감독이 춤을 짰다. 강원 정선 아우라지에서 서울 마포나루까지 강을 따라 소나무를 운반한 떼꾼들의 삶을 표현했다. 정선 소리꾼 홍동주·최진실의 소리와 연희단 팔산대의 연주가 어우러진다.

김운태 연희단팔산대 단장은 ‘당산벌림’을 선보인다. 경기도와 충청도 농악을 소재로 한 즉흥 춤판이다. 농악단원들은 상모를 쓰고, 발레리나는 로맨틱 튀튀를 입은 채 서로 어우러진다. 무용수들이 ‘ㄷ’자 대형으로 서고, 농악단원과 발레무용수가 번갈아 중앙 무대를 오가며 즉흥적으로 독무와 군무를 선보인다. 제임스 전 감독은 “발레리나가 장구를 치듯 움직이다 발레 동작을 선보이는 등 예측불허의 춤 풍경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연희단 팔산대의 판굿과 SBT의 ‘도시의 불빛’ 등 각 단체의 단독 무대도 함께 열린다. 2만~7만원. (02)3011-1720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