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예가 윤광조 씨(왼쪽)와 추상화가 오수환 씨가 서울 인사동 가나아트센터 전시장 응접실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도예가 윤광조 씨(왼쪽)와 추상화가 오수환 씨가 서울 인사동 가나아트센터 전시장 응접실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1978년 서울 현대화랑에서 열린 장욱진 화백의 도화전(도자기그림전)에서 젊은 작가 둘이 처음 만났다. 장 화백의 도화전에 참여한 도예가 윤광조 씨와 화가 오수환 씨였다. 술을 좋아하는 이들은 곧바로 단짝 친구가 됐다. 조각과 회화라는 서로 다른 길을 걷고 있지만 전통의 정신에 현대성을 녹여 넣는 작업에 서로 공감했다. 이들은 요즘도 술자리에서 서로를 ‘윤 도사’ ‘오 대인’으로 부르며 전통과 현대미술의 아름다운 조화를 이야기한다.

해방 후의 혼란한 사회와 전쟁, 독재와 민주화 시대, 아날로그와 디지털 시대를 겪은 두 작가는 이제 각자의 영역에서 독보적인 경지에 올랐다. 윤씨는 현대적 분청사기의 대가로, 오씨는 역동적인 서체 추상화가로 유명하다. 올해 만 70세가 된 이들은 지금도 소년 같은 순수함과 감수성으로 매일 10시간 이상 작업에 매달리고 있다.

이들의 70년 생애와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전시회가 마련됐다. 가나문화재단이 오는 21일까지 서울 인사동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여는 ‘놀다 보니 벌써 일흔이네-유희삼매(遊戱三昧) 도반 윤광조·오수환’전이다. 두 원로 작가의 예술 인생과 철학을 한눈에 보여줄 작품 40여점씩을 엄선해 내놓았다. 이들은 “50여년에 걸친 작업은 일방통행식 서양미술에서 벗어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미학 세계에 대한 아름다운 도전”이라고 한목소리로 설명했다.

홍익대 미대를 졸업한 윤씨는 한국의 전통적인 민예정신과 분청사기의 미학을 계승해온 작가다. 2003년 영국 런던에 있는 도예전문 화랑인 베송갤러리에 초대된 데 이어 2004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에 선정됐다. 2011년에는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서 열린 분청사기전에 참여해 주목받았다.

그는 초기에 흙의 물성을 깨워 불교에 대한 깊은 경외심을 도자기에 담아냈다. 그러다가 1994년 경주 안강 도덕산 기슭으로 작업실을 옮기면서 ‘무위자연’ ‘자연스러움’에 초점을 맞췄다. ‘산동(山動)’ ‘혼돈(混沌)’ ‘심경(心經)’ 등 그의 최근작에선 일흔의 나이에도 ‘고뇌하는 순수’와 ‘노동의 땀’을 조형언어로 표현하려는 작가정신이 느껴진다. 물레도 없이 직접 흙가래를 쌓아올리는 기법으로 도예 작업을 하는 그는 “작업장에서 해가 질 때까지 하루 12시간 이상 작업한다”며 “죽을 때까지 흙과 불을 붙들고 예술적 삶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전통 서예와 추상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오 화백은 50년의 화업을 ‘선(線)과 선(禪)의 통합 과정’이라고 압축했다. 서울대에서 회화를 전공한 그는 베트남 파병군인 출신이다. 이후 1970년대에 5년간 구상작업을 하던 그는 사회 현실이 마뜩잖아서 그림보다는 포스터가 더 필요하다고 보고 군사독재를 비판하는 구상작업에 몰두했다. 하지만 이데올로기의 허무함을 느끼고 추상으로 돌아왔다. 그는 검은 필선에 선(禪)을 응축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필획에서 느껴지는 기운생동과 에너지, 모든 형식, 생각까지도 무한대로 헤엄치는 대로 내버려 둔다. 붓질은 단순하지만 힘이 충만하고 그야말로 자유자재의 경지를 일필휘지로 내닫는다. 바탕 색감도 강약을 주면서 예전보다 한층 밝아진 느낌이다.

서울 수유동 작업실에서 하루 10시간 정도 작업한다는 그는 “내 그림의 궁극적인 고향은 직관적인 표현, 알 수 없고 쓸모없는 기호적 표현, 의미 없는 기호를 보여주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02)720-1020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