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북극 개발에 경제·안보 달려"…앞다퉈 깃발 꽂는 미·중·러
북극은 한때 과학 연구나 환경보호 논쟁의 배경으로 주목받았다. 그런데 요즘은 다르다. 세계 정치·경제·군사·사회적 쟁점의 최전선이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 유럽연합(EU) 등이 앞다퉈 북극 개발에 뛰어들며 지구상에서 가장 치열한 영토분쟁이 벌어지고, 경제적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곳이 됐다. “북극은 에너지 자원의 보고인 동시에 군사외교의 최전방”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까닭이다.

김효선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쓴 《글로벌 북극》은 북극과 관련한 세계 경제 현황을 짚으며 글로벌 경제의 맥락을 미국과 중국, 유럽의 에너지시장과 안보 대립을 중심으로 살펴본 책이다. 저자는 “북극은 미래 자원의 보고이자 안보 요충지”라며 “장기적 저성장 기조에 접어든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곳”이라고 말한다. 미국 지리학회에 따르면 북극해에는 미개발 원유의 약 13%, 천연가스의 30%, 액화천연가스의 20%가 묻혀 있다. 콜라반도, 북시베리아, 그린란드 등에 묻힌 희귀금속은 세계 최대 규모다. 북극이 세계 에너지 수급의 변수로 떠오른 이유다.

북극은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하다. 세계 열강의 미사일과 레이더 시험기지가 북극권에 있다. 러시아는 북극해 일대에 새 군사시설을 확충하며 군사력을 확대하고 있다. 저자는 “에너지 자원은 개발 생산 시 투입되는 비용보다 수송비용이 더 큰 것이 특징”이라며 “북극에서 에너지 수송로와 수송책을 확보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한국이 북극 문제에 관해 신중하고 유연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은 2013년 북극지방의 공동 관심사를 논의하는 북극이사회 잠정 옵서버국 자격을 획득했다. 저자는 “한국은 북극에 영토는 없지만 북극 개발에 참여하는 투자자가 될 수 있다”며 “북극 유·가스전 개발제도를 활용하거나 전력계통 시스템을 수출하는 등 기술 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