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데스크] CJ를 위한 '변명'
아무래도 청와대가 CJ를 정조준하고 있는 듯하다. 직접 거명은 하지 않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잇단 발언으로 짐작할 수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문화융성회의를 주재하며 “영화산업에서 계열사를 밀어주는 관행이 나타나고 있는데 바로잡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0일 열린 규제개혁 민관합동회의에서도 수직계열화에 따른 불공정거래 가능성을 강하게 지적했다.

CJ는 속된 말로 ‘멘붕’이다. 발언의 방점이 ‘불공정거래’가 아니라 ‘수직계열화’에 찍혀 있기 때문이다. CJ는 배급사(CJ E&M)와 극장사(CJ CGV)를 양대축으로 제작-투자-배급-상영의 영화 공급망을 구축한 기업이다. 수직계열화가 맞다.

그렇다면 CJ는 계열 극장에 자신의 배급영화를 얼마나 몰아줬을까. 금세 알 수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홈페이지는 매일 밤 12시에 영화별 스크린·좌석 점유율을 공개하고 있다. 장난을 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관객이 들지 않는데도 계열 영화를 계속 걸면 표가 날 수밖에 없다. 상장사인 CJ CGV 투자자들이 좌시하겠는가.

신생배급사 NEW의 돌풍

‘해운대’ 연출 감독으로 이름난 윤제균 JK필름 대표. 지난 민관합동회의에서 “예전엔 비흥행 영화라고 하더라도 최소 1주일간 기본상영 시간이 지켜졌지만 요즘엔 그렇지 않다”고 호소해 눈길을 끌었다. 윤 대표가 직접 제작한 것들 중에 CJ가 주투자자로 나선 ‘제7광구’라는 작품이 있다. 그는 이 영화가 CJ 투자콘텐츠로는 가장 망했다는 평을 들으며 얼마나 빨리 CGV에서 간판을 내렸는지 잘 알 것이다.

한국에서는 매년 200여편의 영화가 새로 제작되고 있다. 그중에 50여개는 배급을 거절당한다. 부당계약 등과 같은 불공정거래야 당연히 제재해야 하지만 배급사의 선택과 거부를 제재할 수는 없는 일이다.

진정으로 경쟁력 있는 영화생태계를 만들려면 승자의 혁신과 패자의 전략적 퇴화가 동시에 일어나야 한다. 놀랍게도 지난해 국내 영화 점유율 1위를 달성한 배급사는 CJ도 롯데도 아니었다. 후발 배급사인 NEW였다. ‘7번방의 선물’, ‘변호인’으로 2년 연속 대박을 쳤다. 대기업이 아니라도 얼마든지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사례다. “돈을 못 벌어도 영화는 만들어야겠다”는 열정이 넘쳐나는 곳이 충무로다. 그게 창조경제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하지만 어떤 아이디어나 기술도 경쟁이라는 시장경제원리를 피해갈 수는 없다.

수직계열화도 전략이다

영화는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시장이기도 하다. 월트 디즈니가 2012년 ‘존 카터’라는 영화 하나로 수천억원의 손실을 입고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는 테마파크 캐릭터 미디어로 이어지는 사업포트폴리오 덕분이다. 수직계열화는 기업 선택의 영역이다.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다면 오히려 장려해야 할 전략이다. 기업(그룹) 내부의 아이디어 콘텐츠 기술을 집약하는 능력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일 뿐이다.

CJ는 영화 수출 1위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을 끊임없이 노크할 수 있는 의지와 역량을 갖고 있다. 그 가능성을 높이 사야 한다. “이러다가 극장을 팔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들도록 하면 안 된다. 대통령은 대기업이 영화를 걸어주지 않는다고 푸념하던 제작사들의 작품을 찾아 영진위 홈페이지(www.kobis.or.kr)에서 객석점유율을 확인해보시라.

조일훈 경제부장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