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동영상 포털 훌루(hulu.com)는 올 들어 한국 드라마를 무료 주문형 비디오(VOD)로 선보이고 있다. NBC · 폭스 · 디즈니 등이 함께 설립한 합작법인인 훌루는 광고 수익을 기반으로 하는 무료 온라인 VOD 서비스 모델.현재 '아이리스'를 비롯해 '선덕여왕''내 이름은 김삼순''꽃보다 남자''못된 사랑''나쁜 남자''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 등의 한국 드라마를 서비스 중이다.

이에 비해 유튜브는 한국 가요(K-POP)의 전파 통로로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한국 뮤직비디오들이 올라 있는데,원더걸스의 '노바디' 등은 아예 영어 버전으로 제작됐다. 미국 최대 케이블TV인 컴캐스트는 지난 5월부터 K-POP VO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처음에는 일회용 이벤트로 마련했지만 클릭 수가 예상외로 많자 이 서비스를 공식화했다.

권호영 한국콘텐츠진흥원 수석연구원은 19일 한국미디어경영학회가 '글로벌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경영'을 주제로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마련한 가을철 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사례를 포함한 '한국 방송프로그램의 미국 유통 현황과 전략'을 발표했다. 권 연구원은 "미국 시장에 진출하면 앞선 기술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데다 미국시장에서 성공하면 다른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도 쉽다"며 "콘텐츠와 미디어산업을 글로벌화하기 위해 미국은 반드시 공략해야 할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미국에 판매된 방송 프로그램은 총 2760만달러어치로 일본에 이어 2위 규모다. 250만명의 교민과 1500만명의 아시아계 미국인이 주 소비층이다. 드라마와 뮤직비디오 등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미국 수출이 늘고 있지만 3억명의 인구로 세계 방송산업의 40%를 차지하는 미국 방송시장 전체 규모(2009년 1332억달러)에 비춰보면 극히 미미한 수치다.

권 연구원은 따라서 미국시장에서 인기가 있는 드라마와 뮤직비디오 수출을 늘리는 데 힘써야 하겠지만 콘텐츠 수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안정적인 글로벌 방송사업의 기반을 닦아야 한다는 것.미국에서 채널을 직접 운영하면서 채널 브랜드를 구축,전국 광고주를 대상으로 광고를 판매하고 현지인에게 통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는 얘기다.

현재 KBS 등 지상파 3사와 CJ E&M그룹 등은 미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지사를 설립해 비디오 임대와 채널 서비스,콘텐츠 판매 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재미 교포를 대상으로 한 비디오 사업의 매출 비중이 가장 크지만 채널 서비스와 온라인 판매,아시아계와 히스패닉계 채널 등에 대한 프로그램 판매 비중도 확대되고 있다.

권 연구원은 특히 인터넷에 동영상을 배급하는 방식을 적극 활용하라고 주문했다. 아이튠즈나 아마존 훌루 등 메이저 동영상 포털에 한국 영상물 판매를 확대하면 장기적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채널과 포털을 형성시켜 소비자와 직접 만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