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들은 펜촉 끝에서/울음을 터뜨리며 태어나는 것일까?…(중략)//그러나 애당초 글자들은/백지에서 태어나지 않는다. /백지로 옮겨질 뿐,타의에 의해/백지에 갇힐 뿐이다//글자는 내가 바라보는 어떤 나뭇잎의/뾰족한 끝에서 오물거린다. /내가 바라보는 풍경에/내 시선에 닿는 그것에/애초에 없는 것이 생겨나/꼼지락거리는 것이 글자다. '(<글자들> 중)

시인 채호기씨(52)는 《수련》 이후 7년 만에 발표한 시집 《손가락이 뜨겁다》(문학과지성사)에서 '언어'에 주목했다. 어느 늦가을 산길을 가로막고 선 유난히 검고 큰 돌이 말을 건네는 경험을 한 후,그는 줄곧 그 돌이 한 말의 의미를 생각하며 언어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게 됐다고 한다. 그 끝에 얻게 된,'시인은 자신의 외부에 있는 언어를 빌려다 쓰는 것이 아니라,자신의 몸에 들어 있으며 자신의 일부인 언어를 끄집어냄으로써 시를 쓴다'는 깨달음이 시집에 반영됐다.

그래서 '먹이를 쫓는 사자의 근육보다는/죽음과 경주하는 사슴의 근육'(<시의 근육> 중)처럼 검고 큰 돌이 시인에게 건네려 했던 말을 해독하려 애쓴다.

그러자 언어의 강력한 힘도 선명해진다. '피 없는 고통,그게 나였다. /화분에서 이미 지껄인 말들이 자라났다. /나무의 생살을 뚫고 가시가 돋아났다. /영혼은 한순간 가시 끝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렸다. '(<거울의 악몽> 중)

이 과정을 통해 시인의 정체도 밝혀진다. '꽃이 없는 책에서 당신은 꽃을 보고 만지고/향기 맡고 애무하고,마침내 언어와의/격렬한 정사를 통해 사랑을 수태한다. '(<당신은 누구인가?> 중)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