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이라는 나라는 우리에게 어떤 느낌을 주는가. 멀리 떨어진 이국적 공간? 때묻지 않은 시원(始原)?

소설가 전성태씨(40)는 신작 소설집 《늑대》(창비)에서 몽골을 우리의 내면을 드러내는 거울로 그려냈다. 2005년 가을부터 반년 동안 몽골에서 지냈다는 전씨는 이번 소설집 수록작 10편 중 6편을 몽골이 배경인 작품들로 채웠다. 몽골은 인간의 욕망과 우리의 치부를 비추는 은막이 되고,소설 속 인간 군상들은 욕망이나 분단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 자신'을 연기하는 배우가 된 듯하다.

전작 《국경을 넘는 일》에서 그랬듯 이번 소설집에서도 전씨는 분단 문제에 다시금 주목했다.

수록작 <두번째 왈츠>에서 몽골 시인이 "한국인들한테 몽골은 제삼지대"라고 통찰했듯,몽골은 분단 문제를 첨예하게 드러내는 공간이 된다.

남과 북의 미묘한 긴장은 몽골의 한 식당에서 절정에 달한다. 전씨는 <목란식당>에서 북한이 직영하는 식당인 목란식당에 갈 때 '마치 맞선을 보러 가는 양' 긴장하고 호기심에 들뜬 남녘 사람들의 이율배반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식당에서 "우리가 음식을 먹고 내는 달러가 당신네 장군님한테 가느냐"고 따져묻는다. "목란은 그냥 식당인데…"라는 '나'의 말은 그저 멋쩍을 뿐이다.

표제작 <늑대>는 이미 욕망의 늪에 깊이 빠진 주인공이 몽골 초원에서 끝없는 욕심을 채우려다 파멸하고 타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늑대>에는 이미 늑대 수십마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초원을 누비는 검은 늑대 한마리를 또 가지고 싶어 몸이 달아 있는 한국인 사업가가 등장한다.

그는 '마치 나비 채집가가 사향제비나비 표본을 갖고 싶어하는 이치와 같겠지요'라고 늑대를 향한 욕망을 정당화하면서 '저 탐욕에 무슨 인과가 있겠습니까. 욕망과 힘에 무슨 죄가 있습니까'라며 당당하다.

하지만 억지로 곁에 둔 여자가 사업가의 욕망을 거스르는 순간,소설은 파국을 향해 치닫는다.

이외에도 이산가족 문제를 다룬 <누구 내 구두 못 봤소?>,혼혈인을 향한 폐쇄성을 꼬집은 <이미테이션>,탈북자들이 겪는 고통을 보여주는 <강을 건너는 사람들> 등의 단편이 실렸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